숙의 토론 전 27%에서 숙의 토론 후 43%p 껑충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 개편에 대한 시민참여단 공론화 회의 최종 결과, 응답자 10명 중 7명은 비례대표 의원 수를 더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숙의 토론 전 진행한 조사 결과(27%)에 비하면 두 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다. 현행 300명인 국회의원 정수를 확대해야 하는 의견도 공론화 회의 전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13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가 서울 여의도 KBS 본사와 4개 지역총국에서 시민참여단 숙의 토론 뒤에 진행한 공론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공론화 회의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가 국회 정개특위 의뢰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화 시민참여단 469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를 이용한 웹조사(CAMI) 방식으로 실시했다. 1차 조사는 시민참여단 모집 직후인 지난 1~3일에, 최종 조사는 지난 6일과 이날 이틀간 나눠 진행된 숙의 토론이 모두 종료된 이후 진행됐다.
먼저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원의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비례대표 의원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70%로 숙의 토론 전 진행한 조사 결과(27%)보다 무려 43%포인트(p) 증가했다. 반면, 지역구 의원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46%에서 10%로 36%p 감소했다.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11%에서 2%로 9%p 감소했다.
현행 300명인 국회의원 정수 축소·확대 질문에는 의원 수를 더 늘려야 한다는 응답과 의원 수를 더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각각 33%, 37%로 팽팽했다.
다만 숙의 토론 전 조사와 비교하면 더 줄여야 한다 응답(숙의 전 65%)은 28%p 감소한 반면,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13%)은 20%p 상승했다. 현행 유지를 꼽은 답변도 숙의토론 전(18%)보다 11%p 증가한 29%로 나타났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현행 선거제도의 개편 필요성에 대해선 선거제를 바꿀 필요가 있다는 응답은 84%로 숙의 토론 전 77%보다 7%p 증가했다. 바꿀 필요 없다는 답변은 12%에서 15%로 3%p 올랐다.
비례대표 의원 선출 범위 질문에는 전국단위 비례대표제와 권역단위 비례대표제에 대한 응답이 각각 58%, 40%로 나타났다. 전국단위 비례대표제 선호 의견은 숙의토론 전 38%에 그쳤지만, 토론 뒤 20%p 증가했다. 권역단위 비례대표제 선호 의견은 토론 전(45%)보다 5%p 감소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