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층 30% 노린 신당 창당 세력 난립하지만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6-25 14:26:2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대선주자급 인물 부재, 현행 소선거구제도 장애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내년 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거대 양당에 피로감을 느낀 무당층이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신당 창당 움직임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출신 양향자 무소속 의원이 오는 26일 한국의희망 창당 발기인대회를 열어 가장 먼저 깃발을 들고, 금태섭 전 의원도 오는 9월부터 창당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여기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신당 창당설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오는 분위기다.


장혜영·류호정 정의당 의원과 조성주 전 정의당 정책위부의장이 이끄는 신당 움직임도 있다. 결은 다르지만, 손혜원 전 민주당 의원도 김남국 무소속 의원과 호남 기반의 신당 창당을 시사한 바 있다.


신당 세력 가운데 가장 먼저 양향자 의원이 오는 26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한국의희망 창당 발기인 대회를 개최한다. 이날 대회에는 창당 발기인과 지지자 등 200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 의원은 차기 총선에서 전국 지역구에 후보를 내겠다고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의석 확보에 관한 목표는 아직 제시하지 않고 있다.


양 의원은 고졸 출신으로 삼성전자에 입사해 상무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반도체 전문가로 20대 총선 당시 민주당에 영입됐지만, 지금은 국민의힘 반도체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일각에선 국민의힘에 입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지만 결국 창당이란 길을 택했다.


오는 9월 신당 창당준비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인 금태섭 전 의원의 ' 다른 미래를 위한 성찰과 모색 포럼(성찰과 모색)' 움직임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성찰과 모색은 지난 13일 국회 토론회에 이어 내달 4일 광주 토론회를 예고한 상태다.


수도권 중심의 30석 정당 등 구체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금 전 의원 신당은 정의당 장혜영·류호정 의원과 조성주 전 정책위부의장 등 신진 세력이 주도하는 모임과의 연대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조 전 장관의 신당 창당설도 나온다.


이는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최근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 전 장관의) 무소속 혹은 신당 창당 가능성이 있다"며 "지역구는 광주"라고 언급하면서 제기됐다.


특히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났던조 전 장관이 이후 "길 없는 길을 가겠다"고 거론하면서 무게가 실리는 모양새다.


하지만 민주당 내에서는 조 전 장관의 출마 및 신당 창당설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다. 자칫하면 내년 총선 구도를 '윤석열 정부 심판'에서 '민주당 내로남불 심판'으로 바꿀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않다.


실제 조 전 장관이 창당할 경우 특정지역 민주당 표가 잠식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장혜영·류호정 정의당 의원과 조성주 전 정의당 정책위부의장 등 정의당 지도부와 다른 목소리를 내는 이들의 움직임도 있다. 현재 정의당이 추진 중인 혁신 재창당 논의 과정에서 이탈해 아예 새로운 정당 가능성을 표방하는 이들은 앞서 출범 선언문에서 양당 밖에 있는 제3시민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세력은 금태섭 전 의원의 신당과 연합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손혜원 전 의원이 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과 손잡고 신당 창당 의사를 밝혔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다른 신당 창당 세력들도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는 관측이다.


새로운 정치세력에 대한 국민적 열망은 있지만 이를 실현할 대선주자급 인물과 비전이 없다면 표를 모을 수 없기 때문이다.


현행 소선거구제도 신당 성공을 어렵게 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유권자들의 '사표 방지 심리'를 자극해 거대양당에 표가 몰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소수정당 우대 명목으로 제정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도 이후 위성정당 난립으로 기능을 작동하지 못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