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명예 퇴진에도 반성 없이 "사람 볼 줄 몰랐다" 부하 탓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광복회 수익사업을 이용한 비자금 조성 및 사적 유용 정황이 드러난 김원웅 광복회장이 자신의 탄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시총회를 이틀 앞두고 16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김 회장은 2019년 6월 취임 후 2년 8개월 만에 불명예 퇴진하게 됐다. 그의 임기는 2023년 5월까지였다. 하지만 그는 불명예 퇴진에도 반성 없이 “사람 볼줄 몰랐다”라며 부하를 탓하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해 빈축을 사고 있다.
김 회장은 이날 '광복회장의 직을 사퇴합니다'라는 입장문에서 "최근의 사태에 대해 부끄럽고 민망하다. 회원 여러분의 자존심과 광복회의 명예에 누를 끼친 것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라며 광복회장직을 사퇴한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의 최근 감사결과에 따르면 김 회장은 광복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내에서 운영해 온 야외 카페 '헤리티지 815' 수익금으로 수천만원대 비자금을 조성해 옷 구입, 불법 마사지 업소 출입 등 사적 용도로 썼다.
또 김 회장 친인척이 운영하는 골재회사가 광복회관 내 사무실과 집기류를 무상으로 사용한 사실도 이번 감사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이에 따라 보훈처는 김 회장의 이 같은 비자금 조성·사용 등에 따른 감사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지방경찰청에 김 회장 등 관계자들에 대한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그러나 김 회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이번 사안에 대해 "전적으로 제 불찰"이라면서도 "사람을 볼 줄 몰랐고 감독 관리를 잘못해 이런 불상사가 생긴 것"이라고 부하 탓을 했다.
비자금 조성은 전직 직원의 비리이며, 본인은 지시한 적이 없다고 주장해왔던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했다.
김 회장의 사의 표명은 오는 18일 회장 불신임안 표결이 예정된 광복회 임시총회를 이틀 앞두고 예고 없이 이뤄졌다. 광복회 안팎으로부터 자신의 사퇴를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진 데다, 1965년 광복회 창립 이후 57년 만에 처음으로 탄핵당한 회장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
정치인 출신의 김 회장은 이번 비자금 논란과 별개로 여권 편향 시비로 끊임없이 구설수에 올랐다. 김 회장 취임 후 광복회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들에게 각종 상을 수여했을분만 아니라 그간 공식 석상 등에서 "박근혜(전 대통령)보다 일제때 항일무장을 투쟁한 독립운동가 가문에서 자란 김정은(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이 낫다"라는 등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기 수원시, 1인가구 지원사업 선도모델 제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4/p1160279219128288_343_h2.jpg)
![[로컬거버넌스] 서울 강서구, 민선8기 2주년 구정 성과공유회](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3/p1160278441427235_442_h2.jpg)
![[로컬거버넌스]일자리·여가가 있는 활력 노후생활··· 마을마다 소외없는 돌봄· 안전망 구축](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2/p1160272400425295_862_h2.jpg)
![[로컬거버넌스] 서울 서초구, ‘고터·세빛 관광특구’ 글로벌 명소화 팔걷어](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030/p1160278334289070_529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