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6석 협조 없으면 법안 통과 안되는데 '연대 난항'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 돌파를 위해 '쌍특검'에 공을 들이지만 각 당의 이해관계로 난항이 예상되는 가운데 '개딸들'로 지칭되는 민주당 강성 지지자들이 이정미 정의당 대표를 모욕하는 등 양당 간 갈등을 키우는 양상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14일 “3월 임시국회 중 '대장동 특검'과 '김건희 특검'을 법제사법위원회를 건너뛰고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본회의에 부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정의당과의 연대가 필요한데 '이정미 사태' 때문에 난감해졌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1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일본 강제동원 사죄·배상 촉구 범국민대회에 참석한 이 대표가 연단에 오르자 민주당 지지자들이 "내려와"를 외치며 야유를 퍼부었다. 최근 정의당이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에 찬성한 데 대해 비난한 것이다.l
이에 따라 양당 간 분위기가 급격하게 냉각되는 양상이다.
정의당은 이날 당원들이 일부 민주당 지지자들로부터 폭행을 당했다면서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 지도부에 사과를 요구하는 등 크게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날에는 김창인 청년정의당 대표가 당 상무집행위원회에서 "정의당이 김건희 특검을 발의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정쟁용으로 설계된 민주당 맞춤형 특검안에 동참하기 위해서가 아니다"라며 "민주당은 정의당의 행보를 두고 민주당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라는 둥 자기 멋대로 해석하며 아전인수의 태도를 보인다"고 날을 세웠다.
이현정 부대표도 "진영주의와 흑백논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 정치의 폐해"라며 "의견이 다르다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민주당이 지향하는 민주주의인가"라고 비판했다.
정의당이 법사위를 거쳐야 하고 교섭단체가 아닌 원내 정당도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등 민주당안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개딸들의 이정미 대표 공격은 그야말로 '불난 데 기름붓는' 격이 됐다는 지적이 따른다.
패스트트랙 지정을 위해서는 재적의원 5분의 3(180석)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169석을 보유한 민주당으로선 정의당(6석) 협조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민주당 내에선 과격한 언행으로 정의당과의 갈등을 야기한 일부 당원들에 대해 당 지도부가 강하게 비판하는 메시지를 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송갑석 의원은 페이스북에 "(제가) 당 지도부는 아니지만,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중 한 명으로서 정의당과 이정미 대표께 사과드린다"며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발언자를 모욕한 것은 광장에 모인 시민 모두를 모욕한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분들이 우리 당원이라면, 지지하는 민주당에게도 지지하는 정치인에게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며 "예의를 지켜주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