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하태경, 총선 전 ‘정계개편’ 예상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2-21 14:31: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申 “내일 바로 정계개편 이뤄져도 이상하지 않아”
河 “두당 모두 싫다는 여론...총선 때 제3당 나와”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내년 4월 총선 전에 정계개편이 일어날 것이란 전망이 21일 잇따라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의 ‘멘토’로 불리는 신평 변호사는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 인터뷰에서 "내일 바로 정계개편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그런 구조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해 주목을 받고 있다.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교수 출신의 신평 변호사의 발언이 정치 현안과 관련해 주목받는 이유는 윤 대통령과의 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신 변호사는 “지금 야권도 상당히 취약하고 여권도 취약하다. 야권은 잘 아시다시피 이재명 당 대표계와 그 나머지 야당 연대로 가는데 이미 감정의 계곡이 생겨 버렸다. 여권도 마찬가지다. 이준석, 유승민계가 지금까지 대통령이 취임하고 나서 대통령을 향해서 끊임없는 저주의 말을 퍼부어 왔다. 이런 세력들이 과연 국민의힘 내부에서 상호 일치의 최소한의 정파적 이익을 같이하는 집단으로 볼 수가 있겠는가. 그런 면에서 여권도 분열의 소지가 있는 것이고 야권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신 변호사는 이준석계와 유승민계를 지목하면서 최소한의 정파적 이익을 같이하는 집단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를 피력한 셈이다. 정계개편이 일어난다면 윤석열계와 이준석계-유승민계가 갈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총선을 앞두고 정계개편은 자주 일어났다. 대부분은 공천과 관련한 갈등이 촉매제가 됐다. 당권을 쥔 쪽에서 공천에 영향력을 강하게 행사할수록 소외된 정치세력의 원심력은 커지게 마련이다. 공천 탈락이 사실상 확정되거나 배제가 유력할 경우 앉아서 죽기보다는 탈당 분당 등을 통해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내년 총선은 1년 2개월도 남지 않았다. 제22대 총선의 준비 기간을 고려한다면 정계개편은 올해 가을 이후가 될 가능성이 있다.


윤 대통령의 당무 개입 논란은 중요한 시그널이다. 윤석열계는 당무 개입 금지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비윤석열계는 당무 개입이 결국 공천에 관한 영향력 확대로 이어져 친윤 중심의 공천이 이뤄질 것으로 우려한다.


이와 관련해 신 변호사는 “중요한 것은 당헌이다. 당의 골격을 정하는 게 당헌인데 국힘당의 당헌을 보면 당과 대통령의 관계를 규정한 것이 제7조, 8조가 있다. 여기에 입각해서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지금 항간에는 대통령이 당무 개입을 하면 안 된다. 이것을 금지해야 한다. 이렇게 말한다든지 또 당정 분리가 반드시 되어야 한다. 이렇게 주장을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거는 상당히 감정적이고 비이성적인 것”이라며 “당헌에 따라서 결정하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체제로 이어지고 국민의힘도 중도 확장에 실패하면 총선에서 '제3당'이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 의원은 이날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서 "두 당 다 보기 싫다, 꼴보기 싫다(는 분들이 많아지면), 아마 총선 가면 제3당 나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 당도 빠지고 민주당도 실망이고 우리 당도 지금 '이재명 (대표) 없으면 안 되는 당' 이렇게 될 수도 있다"며 "(소속 구성원은) 민주당이 좀 더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하 의원은 이 대표 체포동의안과 관련, 민주당에서 35표의 이탈표가 나올 수 있다고도 예상했다. 이번에는 부결되더라도 여러 건의 혐의에 대해 계속해서 체포동의안이 국회로 오면 이탈표 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 의원은 "사실 체포동의안이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아니다"라며 "범죄종합세트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성남FC랑 대장동 일부가 나온 거고 백현동 또 정자동도 있고 대북송금 대납, 한 적어도 한 3번 이상 새로운 혐의로 체포동의안이 나오는데 이 체포동의안에 찬성하는 표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안에서 의원들끼리 보니까 얘기를 들어보면 이 대표 체제가 유지되고 공천권 행사하고 이렇게 되면 최소 35명 정도는 같이 못 간다, 이런 이야기들이 사실상 의원들 내에서는 공공연한 이야기"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