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내년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기존보다 3배 높이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 중이다.
비명(이재명)계 의원들은 '개딸(개혁의 딸) 정당'을 만들기 위한 작업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반면 이 대표는 '표의 등가성'을 맞추기 위한 점진적 수준이라며 사실상 강행 의지를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표의 원외 친위조직으로 분류되는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29일 당에 대의원 투표비율 완전폐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날 오전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대의원 축소는 민주당 혁신의 첫걸음, 과감한 공천 제도 혁신으로 총선 승리를!'이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도 1표, 국회의원도 1표, 아주머니와 청년도 1표를 행사하는 게 민주주의의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이들과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양이원영 민주당 의원은 "민주주의의 상징이고 그 역사를 개척한 민주당이 여전히 전당대회 권리당원 1인 1표제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것이 부끄럽다"여 이같이 말했다.
이어 "현재 당원들의 수십표 혹은 수백표에 달하는 권한을 대의원 한 명이 가지는 비민주적 제도를 개선하는 안을 김은경 전 혁신위원장이 냈는데 이를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도를 생각하면 옛날에 체육관에 사람들 모아다가 대통령 뽑던 시절이 떠오른다"며 "일부에서는 영남권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당원들을 보완하기 위한 제도가 아니냐고 하는데, 원외위원장들도 우리 핑계 대지 말고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라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요즘 혁신이라는 말이 난무하고 있는데 원칙, 상식, 공정같은 가치는 말로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며 "국민의힘도 1인1표를 실시하고 있는데 혁신을 얘기하는 사람들은 어떤 입장인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27일 오전 당무위원회에서 권리당원 대 대의원 표 반영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조정하는 개정안을 의결했다. 현행 당규에 따르면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40%, 대의원 30%, 국민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여론조사 5%를 반영해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했다.
반면 개정안은 권리당원과 대의원을 합쳐 70%, 국민 여론조사와 일반당원 여론조사를 합쳐 30%를 반영하기로 했다. 또 개정안은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표 반영 비율을 20 대 1 이내로 조정한다. 이렇게 되면 기존 권리당원 60표가 대의원 1표였던 방식에 비해 권리당원의 표 비중이 3배 이상 높아진다.
대의원제 권한 축소는 앞서 친명계 인사들을 비롯해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 제기된 주장이다.
권리당원과 대의원 사이 '표의 등가성'이 맞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대선 이후 이 대표를 지지하는 당원들이 대폭 권리당원으로 유입된 만큼, 권리당원의 권한을 확대하는 것이 '팬덤'을 기반으로 한 이 대표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은경 혁신위'에서도 지난 8월 대의원제 권한 축소를 주문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