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규 "노인 폄훼, 민주당 DNA...金, 대국민 사과하고 사퇴하라"
박대출 "유불리만 따지는 정치계산법 참사, 민주당 미래 짧아질 뿐"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가 '미래가 짧은 분들' 운운했다가 노년층 비하 논란에 휩싸인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을 성토했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1일 김은경 위원장을 향해 "각 유권자에게 남은 기대수명에 따라 비례적으로 투표권을 주자는 (중학생) 아들의 순진한 생각을 김 위원장이 미래가 긴 사람과 짧은 사람이라는 갈등적 표현으로 세대를 대비시켰다"며 "그 순간 아들의 순진한 발상은 어느새 고도의 정쟁적 주장으로 바뀐다"고 지적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김은경 민주당 혁신위원장이) 둘째 아들 발언을 왜곡해 사안을 정쟁화하고 세대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비판했다.
특히 윤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2004년 열린우리당 시절부터 입에 담을 수 없는 노인폄하의 긴 역사를 가진 정당"이라면서 "진정 혁신할 것은 이처럼 갈등적 세계관으로 우리 사회를 바라보며 표 계산을 앞세워 극단적 국민 분할 지배 전략으로 선거에 접근하는 민주당의 구태"라고 지적했다.
이철규 사무총장은 "민주당의 막말이 반복되는 것은 민주당의 DNA가 노인들을 폄훼하고, 노인들의 존재를 부정하고, 또한 대한민국의 건국과 번영을 이룩해 놓은 기성세대들을 부정하는 망언이라고 지적 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과거 민주당 인사들의 노인 폄훼 발언을 소환했다.
특히 "김은경 위원장은 먼저 스스로를 돌아보고 대국민 사죄와 함께 즉각 그 자리에서 내려 오시라"고 촉구했다.
이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 60대, 70대는 투표를 안해도 된다. 집에서 쉬셔도 된다' (정동영 전 대표). '60대가 되면 뇌가 썩는다 일을 하면 안 된다. 자기가 다운되면 알아서 내려 가는데 자기가 비정상이라는 것을 전혀 모른다’ (유시민 전 장관) '교포 노인들은 곧 가실 분들. 노인들이 무슨 힘이 있나' (천정배 전 장관), '일흔이 넘어 새로운 걸 배우긴 그렇다' (윤호중 의원), '윤석열의 지지자들은 1프로 안팎의 기득권 계층 제외하고 저학력 빈곤층 그리고 고령층' (황운하 의원) 등의 발언 사례를 열거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박대출 정책위의장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한동안 잠잠하다 싶더니 민주당의 ‘어르신 폄하 DNA’가 또 다시 고개를 든다"며 "유불리만 따지는 정치계산법이 빚은 막말 참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어르신에게 ‘미래 짧은 분들’이라니 민주당의 미래가 짧아질 뿐”이라며 “민주당의 석고대죄가 필요해 보인다”고 비판했다.
김은경 민주당 혁신위원장의 노년층 비하 논란은 지난달 30일 서울 성동구의 한 카페에서 청년들과 만난 간담회 자리에서 “둘째 아이가 중학교 1학년인지 2학년일 때 ‘왜 나이 든 사람이 우리 미래를 결정하냐’고 질문했다”며 “자기가 생각할 때는 평균연령을 얼마라고 봤을 때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엄마 나이로부터 여명까지로 해서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것인데 합리적이지 않냐"고 밝히면서 촉발됐다.
당시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 1표라 현실적 어려움이 있지만 맞는 말”이라며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청년들과) 똑같이 표결하냐는 것이다. 합리적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1인 1표 선거권이 있어 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고 중학생 아들을 빙자해 자신의 의중을 드러냈는데 남은 수명에 비례한 투표권 행사가 합리적이라는 취지로 해석되면서 여론의 반발을 사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혁신위원회가 "김 위원장은 좌담회에서 아들이 중학생 시절에 낸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 ‘1인 1표’라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부인한 바 없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혁신위가 “앞으로 우리 정치는 세대 간, 지역 간, 계급 간 불균형을 조정하고, 과소대표되고 있는 주체들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면서도 “이런 논의를 위해 예시로 꺼낸 중학생의 아이디어마저 왜곡해 발언의 전체 취지를 어르신 폄하로 몰아가는 것은 모든 사안을 정쟁적으로 바라보는 구태적인 프레임이자 전형적인 갈라치기 수법”이라고 상대방을 탓한 발언은 논란에 불을 지폈다는 관측이다.
특히 김 위원장이 구설을 자초한 사례가 처음이 아닌 점도 반발 여론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김 위원장은 열흘 전, 당내 초선의원들을 두고 '대학생 제자'에 비유하며 “(코로나를 겪었던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심각했는데, 초선이 코로나 때 딱 그 초선들이더라. 그래서 소통이 잘 안된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평가해 헌법 기관인 국민 대표를 모욕했다는 비판을 초래했다.
이에 더해 지난달 15일 언론 인터뷰에서는 "돈봉투 사건이 (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했다가 논란이 일자 "사인으로서의 이야기였다"며 "이런 사건이 재발하지 않게 제도적 쇄신안을 만들 예정"이라고 정정한 바 있다.
특히 다음 날 또 다른 언론 인터뷰에서 “절체절명 상황에서 당 원로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본인이 잘 아실 것"이라며 "자기 계파를 살리려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그러지 않으리라 기대한다”고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를 겨냥했다가 당내 반발에 직면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