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여력 빠르게 소진··· "확진자 1만명이 한계"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12-08 15:44:5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중수본 "1~2주 이내 유지·감소세 전환 중요"
중증화율 2~2.5%··· 당초 예상치보다 높아져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일 처음 7000명대로 치솟고, 위중증 환자도 800명을 넘어선 것과 관련 정부는 추가 병상 확충 작업을 계속헤서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열린 코로나19 대응 정례브리핑에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중환자 발생 규모를 적어도 1∼2주 정도 이내에는 유지 또는 감소세로 전환하는 게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당초 중증화율을 1.6% 정도로 가정해서 지난해 12월 대비 중환자 병상은 약 3배,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도 3배 정도 확충했다”고 말했다.

이어 손 반장은 “그러나 지금 7000명 정도의 확진자가 나오고 중증화율도 2∼2.5% 내외로 높아져 중환자실 가동률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확진자) 약 1만명 정도까지는 견딜 수 있지만, 그 이상을 위해서는 상당한 의료적 조정이 추가로 필요해 예정된 병상 확충 작업을 계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대면수업을 최대한 이어간다는 기존 방침은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손 반장은 관련 질의에 “학교는 최후의 순간까지도 일상적으로 대면수업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다수 제기됐다”며 “정부도 사회적 가치에 비추어 볼 때 그 점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학교가 또다시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돼 학생들이 여러 학습상의 가치나 혹은 인격 함양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계속 학교를 열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를 위해서 (청소년도)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을 받도록 독려하고, 방역패스를 확대하는 등의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전국적인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이동량은 2주 연속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월29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의 휴대전화 이동량은 2억3379만건으로, 직전주(11월 22∼28일) 이동량(2억4390만건) 대비 4.1%(1011만건) 줄었으며, 수도권의 주간 이동량은 전주보다 3.3%(427만건), 비수도권 주간 이동량은 5.1%(942만건) 줄면서 감소 폭도 직전주(수도권 0.9%, 비수도권 3.0%)보다 더 커졌다.

이동량 자체는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도 같은 기간(11월29일∼12월5일)보다 6.9%(1724만건) 하락한 수준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