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곳곳서 개인정보 유출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6-18 16:20: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올해 50곳서 사고... 역대 최다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올해 들어서만 공공기관 50곳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났던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5월 개인정보위에 개인정보를 유출했다고 신고한 공공기관은 50곳으로 집계됐다.

개인정보를 유출한 공공기관은 2019년 8곳에서 2020년 11곳, 2021년 22곳, 2022년 23곳, 2023년 41곳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의 경우 이미 역대 최고치인 지난 2023년을 넘어섰다.

지난 4월 행안부의 '정부24'에서 두 차례에 걸쳐 타인의 민원서류가 발급되는 등의 시스템 오류로 1200건이 넘는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이 유출됐다.

앞서 지난 1월에는 학생과 교직원 등 11만명의 정보를 보유한 인천시교육청 계정에서 해킹 의심 사건이 발생해 개인정보위가 조사에 착수했다.

개인정보위는 북한의 해킹 공격으로 1014기가바이트(GB) 분량의 개인정보를 털린 법원에 대한 조사도 지난 2023년말부터 진행하고 있다.

한편, 개인정보위가 출범한 2020년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공공기관당 평균 과징금은 2342만원으로, 민간기업(17억6321만원)의 1.3%에 불과했다.

개인정보보호법에서 매출액이 없거나 매출액을 산정하기 힘든 공공기관 등에 부과되는 최대 과징금을 20억원으로 제한한 탓이다.

반면 기업의 경우 과징금 상한액을 '위법행위와 관련된 매출액의 3%'에서 '전체 매출액의 3%로 조정하되 위반행위와 관련 없는 매출액은 제외'하는 방식으로 2023년 9월 관련법이 개정됐다.

양부남 의원은 "주민등록번호와 금융정보를 비롯해 사회 취약층의 민감정보 등을 대량으로 처리하는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공공기관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들이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