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거액의 가상자산 거래 논란으로 국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로부터 '의원직 제명'을 권고받은 김남국 무소속 의원이 내년 총선 불출마 카드로 자신의 제명 여부를 결정할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회의 일정을 늦추는데 성공한 데 대해 민주당 친명계와 비명계가 대립각을 세우며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친명계 김영진 민주당 23일 "(김남국 의원이) 불출마 선언으로 자기가 한 행위에 대해 법적 문제를 벗어나서 도덕적,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에 대해 인정하고 그에 합당한 처벌을 본인 스스로 내렸다고 본다"면서 징계 수위가 과하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한 김 의원은 "(제명은) 마녀사냥 적 성격도 있을 수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특히 "국회의원에게 불출마 선언은 공천법에 의해 피선거권을 5년 제한받는 것과 동일하다"며 "윤리위원회 소위원회에서 논의와 진정성을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연기됐다고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남국 의원의) 진정성이 확인되면 제명까지는 갈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냐'는 진행자 질문에도 "개인적 의견으로는 헌정사에서 국회의원을 제명한 경우는 김영삼 대통령 이외에는 없다"며 "국회의원 제명까지 갈 수 있는 사안인가에 대해 과연 적절한가라는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국회 윤리위원회의 처벌 기준이 경고, 한 달 징계, 제명, 딱 3단계"라며 " 6개월, 1년 이렇게 해서 그 경중에 맞게끔 판단하는 부분도 필요하다"고 국회법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반면 비명계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김남국 의원 징계에 대한) 표결 지체는 (김 의원이) 현재 무소속일지라도 당 지도부 비호를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당 지도부의 미온적 대처가 국민이 당의 도덕성을 더욱 의심하게 만들었다"고 반발했다.
이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송영길 전 의원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 김남국 의원 코인 거래는 민주당을 늪으로 빠뜨린 사건"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특히 그는 "김남국 의원의 (포털) 연관검색어로는 아마도 조국 전 장관, 이재명 대표, 그리고 처럼회가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김남국 의원은 민주당 이슈를 이끌어 온 중심에 있던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 "김(남국) 의원의 22대 총선 불출마 선언은 21대 김남국 (의원의) 코인 거래와는 별개 문제"라며 "현재의 문제를 희석화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신경민 전 의원도 "(김남국 의원은) 불출마가 아닌 의원직 사퇴를 해야 한다"며 "(가상화폐 거래 액수가) 대기업에서 평생 일해도 벌기 힘든 돈이다. 이건 국회의원이 아니다"라고 맹비난했다.
BBS라디오 방송에 출연한 신 전 의원은 "이걸 가지고 자료를 내니 안 내니 이러면서 계속 국회의 공적 기구(윤리특위)와 딜을 했고, 또 앞으로 수사도 받아야 하지 않느냐"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불출마 선언을 가지고 윤리특위 소위에 '잠깐 호흡을 고르고 봐 달라'고 그러는데 이건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회 윤리특위 1소위원회는 전날 오전 김 의원 제명안을 표결처리한다는 계획이었다.
윤리심사자문위원회가 김 의원에게 최고 징계 수위인 '의원직 제명'을 권고한 만큼, 표결 결과도 제명일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징계 표결 1시간을 앞두고 내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고 이에 민주당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요청하면서 결국 윤리특위 1소위는 오는 30일 오후 1시 30분으로 순연됐다.
특히 이 과정에 민주당 친명계가 윤리특위에 “불출마 선언까지 했는데 제명은 너무한 처사”라는 뜻을 여러 경로로 전달했다는 후문이 돌면서 김 의원의 징계 수위를 낮추기 위한 꼼수를 부린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윤리위원인 민주당 송기헌 의원은 '(다음 표결에서)징계 수위를 낮추는 방안도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예단해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