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생활SOC 사업 국비 확보 팔걷는다

장인진 / ji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9-01-30 04:00: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1조4000억 규모 167개 사업 발굴··· 추진단 가동
노후시설 리모델링ㆍ도시ㆍ어촌재생사업 등 총망라


[홍성=장인진 기자] 정부가 지역밀착형 생활SOC 투자를 대폭 확대키로 한 가운데 충남도가 1조4000억원에 가까운 생활SOC 사업 167개를 발굴하고, 추진단을 가동하는 등 국비 확보에 본격 나섰다.

29일 도에 따르면 생활SOC는 보육·의료·복지·교통·문화·체육시설·공원 등 일상생활에서 국민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모든 시설을 말한다.

정부는 올해 지역밀착형 생활SOC 관련 예산을 지난해 5조8000억원보다 2조8000억원 증가한 8조6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분야별 예산은 ▲여가·건강 활동 인프라 구축 1조7000억원 ▲지역 활력 제고 인프라 3조6000억원 ▲생활안전 및 환경 인프라 3조4000억원 등이다.

이에 따라 도는 먼저 시·군 수요조사를 통해 3대 분야, 10대 과제, 167개 사업을 찾아냈다.

발굴 사업은 체육센터, 노후 공공도서관 및 박물관 리모델링, 노후 주거지 도시재생, 어촌 재생, 스마트 축산 ICT, 지역 거점 공공의료 기능 보강, 도시 바람길 숲 및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 태양광 설치, 전기충전소 증설 등으로, 총 사업비는 1조3769억원이다.

2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첫 회의를 갖고 본격 활동에 돌입한 ‘생활SOC 추진단’은 행정부지사가 단장을 맡고, 시·군 부단체장과 도 관련 실과장, TF팀, 충남연구원 등 연구기관 등 70여명으로 꾸렸다.

추진단 주요 기능은 ▲중앙-기초지자체 간 상시 소통 ▲지자체 생활SOC 사업 총괄 조정 ▲사업 발굴 및 중앙부처 복합 공모사업 대응·지원 ▲지역 대표 브랜드 개발 ▲생활SOC 사업 자문 및 지역사회 의견 수렴 등이다.

도는 추진단 가동과 함께 지역 국회의원 및 관계 부처 등을 지속적으로 방문해 생활SOC 정부 공모 사업에 적극 대응키로 했다.

오는 3월 중에는 선도복합프로젝트 사업 구상 용역을 시행, 선도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생활SOC 3개년 계획(2020∼2022년)을 수립해 중앙부처별 계획에 대응한다.

남궁영 부지사와 15개 시·군 부단체장, 도 실과장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 이날 회의는 생활밀착형SOC 사업 추진계획 설명과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남궁영 부지사는 “문화시설과 공공도서관 등 기초생활 인프라는 수도권과 특·광역시에 편중된 것이 사실”이라며 “도민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생활SOC 확충을 통해 도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