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만여명에 이르는 대의원수도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이지만 그 중에 절반을 당원이 아닌 일반 시민으로 채워 넣겠다는 발상도 놀라운 일이다.
우리 나라 정당사에서 처음으로 시도 되는 일인데다가 흔히 말하는 “줄세우기”가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일선 지구당 위원장들에게도 충격적인 일로 받아 들여진다.
선거때만 되면 공천권자의 눈치를 보며 줄서기 하거나 금품이 오가거나 온갖 음해 공작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능력있고 패기찬 젊은 세대들이 정치에 대해서 ‘진저리’를 치는 이유중의 하나가 이런 폐해 때문이다. 지역에서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도 지역의 터주대감들이나 정치꾼들이 이런 저런 끈을 동원해 공천권자에게 줄을 대고 이런 ‘줄’이 오히려 능력보다 앞서기도 했다.
지난 총선에서 공천을 어렵게 받았다는 서울 지역 한 위원은 “공천을 받기까지 보이지 않는 손이 감싸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실제로 선거가 시작되기도 전에 돈요구를 하는 정치꾼들도 있었다”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예비선거제는 대선만이 아니고 국회의원 선거에도 적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내용상으로만 보면 이상적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연 잘 될까?”라는 의문이 남는다.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그 운영에 문제점이 나타나기 마련이고 더 큰 혼란이 일수 있다.
민주당이 국민들이 경선에 직접 참여한다고 말하지만 여전히 절반은 당원들이 투표권자이다. 줄서기가 사라진다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오히려 절반으로 줄어든 투표권 때문에 줄세우기를 강화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종 ‘당근’이 주어질 수도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경선 투표에 참여하는 일반 국민들이다. 현행 법으로는 일단 민주당 당원으로 등록한후 경선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선 후보들간에 ‘자기표’를 의식한 ‘대의원 심기 작업’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 못한다. 금품살포를 비롯한 각종방법이 후보 경선에서부터 난무 할지도 모른다.
국내 최초의 실험 무대인 ‘국민경선제’가 제자리를 잡는다면 이 대변인의 말처럼 취재기자들의 취재 시각도 바뀔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