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생활편의 우선돼야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2-02-04 19:25:5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사회부 기자 신혜권 {ILINK:1} 공기관의 파업 선언은 종종 시민을 불모로 삼아 진행되고는 한다. 최근 파업을 선언했다 철회한 도시철도공사와 지하철공사 또한 마찬가지이다.

지난 99년 4월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의 8일간 파업은 시민에게 최악의 교통대란으로 큰 불편함을 가져다준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더욱이 이번 파업선언은 공기관의 양대 노조인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를 비롯해 시설관리공단, 농수산물공사, 도시개발공사, 강남병원 등의 서울시 투자기관들이 연대 파업을 선언한 것이라 시민들에게 그 파장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러나 다행히 지난 2일 도시철도공사를 시작으로 지하철공사, 시설관리공단이 파업을 철회함으로써 최악의 사태는 피할 수 있게 됐으며 나머지 기관들의 파업 철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기관에서는 이번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으로는 보고 있지 않다. 노사 모두가 이번 합의에 대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조로서는 임금 인상이라는 목적은 달성했지만 향후 임단협 과정에서 사측이 행자부 지침을 어겨 예산상 불이익을 당했다는 카드를 제시할 경우 난항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사측도 행자부의 문책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장이나 임원들은 이번에 지침을 따르지 않은 것이 빌미가 돼 재선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또 행자부가 지자체에 내려보내는 국고 보조금을 줄이게 되면 각 기관들은 향후 예산을 편성 할 때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철도공사와 지하철공사는 공기업이다. 국민의 혈세로 설립되고 운영되는 곳이다. 물론 이들 기관도 주장하고 제시해야 할 의견이 분명 있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향후 재개될 임단협은 시민의 생활편의를 가장 우선시하는 공기업다운 자세와 합리적인 타협에 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