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세운다고 한 게 벌써 언젠데 아직 부지조차 정하지 못했어, 내가 살아서 그걸 볼 수 있을지 몰라”
민주화운동과정에서 희생된 사람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이들의 뜻을 후대에 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한 민주공원 조성사업이 부지선정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차일피일 시간만 보내고 있자 유가족들이 끝내 농성을 시작했다.
정부는 지난2000년“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등에 관한 법”을 제정하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을 추진, 그 일환으로 지난해 민주공원설립을 계획했다.
이에따라 지난해부터 행자부소속의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이하 위원회)는 민주공원 조성사업에 착수했으며 성공회대학교 용역팀의 조사를 거쳐 남산 옛 안기부터와 서초구 대모산 부지를 민주공원 후보지 1순위로 선정해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서울시는 후보지로 선정된 남산과 서초구 일대가 ‘주민반발’,‘남산살리기운동’,‘관련법개정’문제 등으로 적합하지 않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시 관계자는 민주공원이 반드시 서울시내에 건립해야 된다는 근거가 없어 시내 어느곳이든 설립을 허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 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을 애태우고 있다.
서울시 전반의 살림을 책임진 행정관청으로서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하는 하는 것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누구도 이들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것이다. 민주공원건립은 정부, 서울시, 유가족들간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위에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소관부서가 정해지지 않았다”, “이들이 유공자로 지정되면 보훈처의 책임으로 넘어간다”는 등 떠넘기기식 시간끌기는 세월에 쫓기는 이들의 절박한 심정을 외면하는 것이다.
살아생전 유가족들에게 민주화운동과정에 숨겨간 자식들이 자랑스런 국민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줄 수는 없는 것일까? 정부와 서울시의 적극적인 운영의 묘가 아쉬운 시점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