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열린 서울시 임시회 시설관리공단의 업무보고에는 소속 의원 15명 중 6명만이 참여했으며 26일 열린 동부병원 등 4개 시립병원 업무보고에는 소속 의원 11명 중 5명만이 참여하는 등 출석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업무보고 관계자들은 임시의회가 시작하는 10시 이전에 도착해 대기하고 있었으나 임시회는 대부분 10시 30분이 지나서 시작, 의원들이 입실할 때까지 20여명의 업무보고자들이 1시간이나 대기하는 불편을 겪는가 하면 L의원은 입실한 지 5분도 채 안돼 퇴실하는 등 참석한 의원조차 ‘눈도장찍기’에 그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 한두명 의원을 제외하고는 질의 수준이 현저히 떨어져 의원질의로 준비한 상당량의 관계서류가 한번도 열어보지 않은 채 업무보고자들이 다시 짐을 추수리는 모습도 보였다.
일부 참석한 의원에 따르면 불참한 의원들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구 관리를 위해 각종 주민행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자신들 또한 바쁜 일정이지만 최소한의 양심과 책임감으로 참석하는 것이라며 서둘러 자리를 떠났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고를 자랑하는 서울시 임시의회조차 의원들의 무성의로 이렇듯 형식에 그치고 있으니 타 지자체들의 임시회는 어떨까 불안하며 시민의 대표로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기본적인 책무마저 저버린 의원들에 대한 국민들의 원망의 소리가 귀에 들리는 듯하다.
지난해부터 각계 및 시의원들은 지자체 의원들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보좌관 제도도입, 의원유급제, 의회소속 직원의 별정직화 등의 위상강화를 주장했으나 지난달 국회에서 가결처리된 ‘지방자치법’, ‘공직선거및부정선거방지법’ 개정안에 포함되지 않아 의회의 위상강화 제기는 한풀 꺽인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의 대표로 선발된 의원들이 주민들이 부여한 최소한의 책임마저 게을리 한 채 권리만 향유하고 자신의 정치적 도약을 위한 발판의 도구로만 삼는다면 그들이 주장하는 지방의회 발전안은 더욱 멀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