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에는 물가관리 실적이 우수한 3개 자치구만 명시돼 있고 타 자치구의 실적은 공개돼 있지 않아 타 자치구는 어떤 성적을 받았는지 알 수가 없었다.
기자는 담당부서를 찾아가 세부자료를 요청했으나 실무자는 “예전에 한번 자치구를 대상으로 한 자료를 공개했다가 실무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다” 며 기자에게 거듭 양해를 구했다. 간곡한 부탁으로 인해 돌아섰지만 담당자는 보다 더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됐다.
공(公)무원으로서 소수 자치구 실무자를 대변, 절대다수 서울시민의 알권리를 외면하게 된 것이다. 서울시가 우수한 자치구를 공개해 그들의 실적을 칭찬하고자 한다면 실적이 저조한 자치구도 함께 공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개인적인 관계와 담당실무자가 곤란한 상황에 처할 것을 우려해 정보공개를 기피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해당 자치구에 도움이 될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 결코 그들의 행정서비스 강화에는 도움을 줄 수는 없을 것이다.
관공서를 취재하다 보면 국가안보, 개인정보 보호 등의 명목으로 자료공개를 기피하는 경우를 접하는 경우가 가끔 있지만 상황에 따라 그들의 주장은 납득이 가고 이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떤 자료든 투명하게 공개하면 공개할수록 국민에 대한 행정신뢰도가 그만큼 향상되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하는 행정기관이 국민에게 숨길게 뭐가 있겠는가!
공무원 사회도 이제는 사기업에 뒤치지 않을 만큼 경쟁력 강화를 주창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개방형 임용제도 등 각종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제는 변화의 흐름에 맞춰 공무원도 무언가 감추려는 과거의 인식에서 탈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이렇게 사소한 자료조차 공개를 기피하는 부서가 장기적으로 얼마나 대시민 행정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큰 변화는 사소한 것에서 시작되는 것인만큼 서울시 일부 부서의 이같은 태도는 해당 자치구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도 변해야 할 때가 온 듯 싶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