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상 문제는 88년 서울올림픽대회, 아시아경기대회, 아셈 등 대규모 국제행사가 열릴 때마다, 서울시 등 해당 지자체들 및 자치구들은 깨끗한 거리조성을 한다는 이유로 철거에 나섰고 노점상들은 외국인에게 잘 보이려 자신들의 생존권을 위협한다고 반발하는 등 악순환 돼왔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장에 출마한 두 후보자들은 생계형 노점상만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방안과 등록제로 양성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언론보도에서 생계형과 기업형 노점상을 구분해 단속해야 한다며 이를위해 가족의 수입규모와 재산현황, 대리영업여부 등을 면밀히 조사하는 한편 전업(轉業)을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김민석씨는 1만8000여개에 달하는 노점을 전면 철거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우선 기업형 노점상의 단속을 집중적으로 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노점상 관리를 위해 장기적으로 등록제를 실시하면서 노점상의 취사시설과 위생상태에 대한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해 양성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제 지방선거가 한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대한민국의 소통령’으로 불리는 서울시장에 두 후보자중 누가 당선되든 간에 공약사항 만큼은 반드시 지켜줄 것을 기대한다.
과거 우리는 어떤 이익집단의 힘에 밀려 정책이 흔들리거나 퇴보하는 모습을 자주 보아왔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를 통해 지자체와 노점상이 힘을 합쳐 서울의 명물이 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