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론 대 반성론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2-06-26 16:48:0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치부 기자 김종원 {ILINK:1} 6.13 지방선거 참패후 민주당이 최근 내세우고 있는 논리는 청산론이다. 권력형 부정부패에 대해 ‘청산’하고 새롭게 시작하자는 이야기다. 노무현 대통령 후보를 ‘재신임’한 지도부와 당권파는 ‘DJ 단절론’ ‘부패청산’등을 내세우고 있다.

신기남 정치부패근절 대책위원장은 ▲대통령 아들 김홍일 의원 탈당 권유 ▲청와대 비서실장 등 비서진에 대한 책임 추궁 ▲아태재단 해산 및 사회환원 ▲김방림 의원 등 체포동의안 제출의원 보호를 위한 `방탄국회’ 거부 등을 제안하고 있다. 당내 개혁파들은 권력형 비리에 대한 단절을 통해 당이 새로 태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구 동교동계의 반발도 있다. 하지만 선거 참패로 엉망이 된 당을 살리기 위해서는 ‘부패청산’을 통한 ‘당 구하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선거 패배후 한 당직자가 지적한대로 ‘지방선거에서 멀쩡한 좋은 재목들을 공연히 민주당 옷을 입혀 내보냈다가 그 옷 색깔 때문에 동네에서 꼴 우습게된 사람들에게 속죄’ 하기 위해서도 청산론이 힘을 받는 분위기다. 김근태 고문이 8.8 재보선의 전면에 나선 이유도 그의 ‘클린’ 이미지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이런 민주당에 대해 ‘반성’을 우선 요구했다.

남경필 대변인은 25일 논평을 통해 “민주당이 갑자기 소위 부패청산 프로그램을 추진한다며 부산을 떨고 있다”며 “민주당은 아직까지 제대로 자신들의 부정부패 죄과를 국민에게 사죄하지 않았다”고 먼저 국민앞에 사과를 요구했다.

남 대변인은 민주당의 청산론이 단지 ‘위장참회’라고 평가절하했다. 조금 다른 시각이기는 하지만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같은날 지방선거 여성 당선자 대회에서 “흔히 정치를 포장의 예술이라고 하지만 포장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고 진심으로 국민을 위한다는 것이 마음으로 전달돼야 국민의 사랑과 지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정치를 하면서 뼈저리게 깨달았다”고 말했다.

지방선거 결과로 나타난 청산론과 이에 대응하는 ‘우선 사과론’등으로 공방전은 다시 시작되고 있다. 사상 최저의 투표율을 기록했던 6.13 지방선거가 끝난뒤 다시 벌어지고 있는 정치권 공방에 대해 유권자들의 공정한 심판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