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는 15명의 정원으로 초선의원 11명이 차지한 가운데 일부의원만이 사전 모임을 갖고 시의회 의장선거시 의장후보로 거론되는 특정인에게 표를 몰아 주기 위한 것으로 구태의 패거리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자리를 주선한 이모시의원의 전화를 받고 참석한 김모 시의원 당선자는 “과거의 금품수수등 부작용을 막기 위해 합의형식도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그러나 그 자리는 불편했던 것은 사실였다”고 말했다. 또 정모 시의원 당선자는“바람직하지 못한 처사로 경솔했다”며 잘못을 시인했다.
주민에 의해 선출된 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집행부의 적법하고 합리적인 행정을 집행하고 있는가를 감시하고 견제해야할 임무를 가진 시의원들이 세를 규합하고 담합한다면 풀뿌리 민주주의의 발전과 주민을 위한 봉사행정이 과연 이루어 질 수 있겠는가?
2주전만 해도 선거운동을 하면서 ‘변화하는 시대에 정의와 신의를 갖고 지역의 봉사자가 되겠다’ ‘깨끗한 한 표를 달라’며 지역 주민들에게 호소 한 것을 망각하고 자신의 의사를 헌신짝처럼 버리고 포기하는 시의원은 지역주민들로부터 비난을 받아 마땅할 것이다.
안성시의회을 대표하고 안성시민을 대표하는 시의회의장 선거에 일부 시의원 당선자들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한 경솔한 행동은 시민의 민주주의 의식 수준조차 무참히 짓밟아 버린 처사라고 아니 할 수 없다.
公人으로서 公과私를 아직도 구분하지 못하고 大義를 망각한다면 주민의 복지향상은 물론 지역발전과 우리사회의 풀뿌리 민주주의의 활성화는 요원하기만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