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최근 공무원직장협의회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지자체 기자실 폐쇄 운동이 본 취지와는 달리 단순히 ‘기자실’이라는 공간폐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기자실이 있는 곳은 10여개가 안된다. 이 중 최근 구로구가 기자실을 폐쇄했고 강동구 공직협도 기자실 폐쇄운동에 들어갔다.
현재 한 자치구 공직협이 실시하고 있는 ‘기자실폐쇄여부에 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8일 전체 투표자 95명 가운데 90%인 86명이 기자실은 폐쇄되어져야 한다고 응답해 대부분의 공무원이 기자실 폐쇄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그 이유를 보면 ‘기자실’이라는 공간 폐쇄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것 같아 아쉬움이 든다. 기자실 폐쇄에 대한 의견을 보면 “도대체 기자실은 누가 이용하는 것이냐”, “기자들은 발로 뛰어라”, “직원들을 위한 휴게 공간도 없는데 기자들 휴게실이 무엇이냐” 등 공간을 문제시 하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기자실을 기사나 취재보다는 휴게실로 사용하는 기자도 있고 직접 발로 뛰어다니기보다 기자실을 개인 사무실처럼 사용하는 기자들도 있고 밀폐된 공간이 비리의 온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기자들이 그런 것이 절대 아니다. 특히 기자실을 이용한다는 이유로 관변중심의 보도를 한다는 것은 웃기는 말이다.
문제는 기자실을 취재나 기사작성의 목적 외에 불건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일부 기자들에게 있음을 못 박아 두고 싶다.
따라서 공간이 없어진다고 병폐가 사라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말로 기자실이 갖는 병폐를 제거하길 바란다면 관언유착의 행태와 기자실에서 불거져 나오는 비리를 파 해치는 일이 우선 돼야한다고 생각한다.
없어져야 할 것은 ‘기자실’이라는 공간이 아니라 ‘기자실이 갖는 병폐’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