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9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04파리오픈 최종일 경기에서 남자 3체급 모두 메달 획득에 실패, 동메달 1개의 초라한 성적으로 대회를 마감했다.
대회에 나선 박선우(90㎏급)와 조성화(100㎏급·이상 용인대), 김성범(100㎏ 이상급·마사회) 모두 초반 관문을 통과하지 못해 메달권에 근접하지 못했다.
전날 남자 81㎏급의 권영우(용인대·한양대 졸업 예정)가 81㎏급에서 간신히 동메달 1개를 건진 것이 이번 대회 수확의 전부였다.
국가대표 2진급의 남자만 파견했다고 하지만 이들과 대표 1진의 기량차가 크지 않은 데다 선수단을 이끈 윤용발 대표팀 코치도 출국 전 `2진의 반란을 기대하라'고 장담했던 터라 실망이 컸다.
더욱이 아시아 최강을 다투는 일본이 금 5, 은 1, 동메달 1개로 개최국 프랑스(금 4, 은 6, 동메달 5개)를 따돌리고 종합우승을 차지, 상대적으로 한국 유도의 그림자가 짙어 보인다.
앞서 남녀 대표 1진이 참가했던 2004모스크바오픈 역시 실망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트인 이원희(73㎏급)와 황희태(90㎏급·이상 마사회) 최민호(창원경륜공단·60㎏급) 등 3명이 모두 출전했지만 이원희가 우승으로 간신히 체면치레를 하고 최민호와 장성호(마사회·100㎏급)가 동메달 획득에 그쳤다.
특히 여자는 단 1개의 메달도 따지 못해 2003세계선수권 `노메달'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유럽 오픈투어 무더기 금메달 사냥으로 스타트를 잘 끊으려던 대표팀의 계산은 여지없이 빗나갔고 앞으로 헝가리오픈(2월 15∼16일, 부다페스트)과 독일오픈(2월21∼22일, 함부르크)이 이어지지만 시원한 금메달 낭보를 전해줄 지는 미지수다.
시드니올림픽때 은 2, 동메달 3개로 금빛 메치기에 실패했던 한국 유도가 끊어진 올림픽 금맥을 잇기 위해 어떤 진단과 처방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