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위헌적인 수도해체에 다름 아닙니다.
정부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을 이전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공공기관 이전은 2007년 대선을 위한 수도분할에 이은 또 하나의 정략적인 실험입니다. ‘균형’이란 미명 하에 국가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분배우선 정책, 포퓰리스트적인 평등주의의 산물입니다.
신도시 개발과 아파트 건설의 60%가 수도권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이를 주관하는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는 전북과 경남으로 간다고 합니다. 서울과 인천을 동북아 금융허브(hub)로 키우겠다고 약속한 것이 엊그제인데, 자산관리공사 등 금융기관은 부산으로 갑니다.
금융기관과 외국계 기업들은 수도권에 모여 있는데, 해외유전개발을 주 사업으로 하는 석유공사는 울산으로 이전합니다. 구로공단에 있는 중소기업 제품들의 품질관리 등을 전담하는 산업기술시험원은 경남으로 옮겨갑니다.
이것이 과연 국가적 ‘효율성’을 고려한 정책일까요? 결코 아닙니다. 효율성은 외면한 채 내년에 있는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을 의식한 정치적 계산의 결과입니다.
이전 지역에 새로 건물을 짓고 이주가 시작되는 시점은 바로 17대 대선이 치러지는 2007년 말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난 대선에서 수도이전으로 “재미를 본” 이 정권이 다음 대선 때는 공공기관 이전으로 또 다른 재미를 볼 의도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176개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비용은 12조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정부는 이전기관의 자산매각으로 8조7000억원 정도를 조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과연 그렇게 될까요? 또한 정부 말을 그대로 믿는다 하더라도 나머지 3조3000억원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비용 부족분 3조3천억원도 현재의 추산치일 뿐입니다. 예상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고, 이전 대상 기관의 자산이 계획대로 매각되지 않을 경우 이전 비용은 아마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처럼 늘어날 것입니다. 수도권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는 기관들이 ‘서울사무소’를 운영하게 될 비용까지 합친다면 더욱 그렇겠죠.
결국 모든 부담은 국민들의 혈세로 대체하게 될 것입니다. 이미 기형적인 수도분할로 인해 정부청사 매각대금 등을 제외하더라도 우리 국민들은 8조5000억원의 부담을 지게 됐습니다.
거기다가 공공기관 이전 비용까지… 국민은 정권의 돈줄이 아닙니다. 왜 민생경제 회복이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가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위한 졸속사업에 이토록 많은 혈세를 국민들의 지갑에서 꺼내가려고 하는 것인지, 심각한 우려를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습니다.
결국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명분 아래 진행되고 있는 수도분할과 공공기관 나눠주기는 국부의 손실과 국가경쟁력 저하를 초래할 것입니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불, 3만불 시대로 가기 위해 지속적 성장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에 부의 형평분배라는 포퓰리즘적인 슬로건 아래 도시경쟁력은 물론 지방경쟁력의 동반하락을 자초할 것입니다.
균형발전의 이면에는 중앙과 지방의 시너지(synergy) 성장이 아니라 하향평준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우리 경제의 파이(pie)를 키우는 일입니다. 한정된 파이를 키워 더욱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정책을 개발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정부는 파이 키우기에는 관심이 없는 듯 합니다.
어떻게든 그나마 가지고 있는 파이를 잘게 잘라 나눠 줄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파이를 나눠서 평등하게 갈라먹고 그 다음에는 다같이 배고픔을 참으라고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단 수도분할과 공공기관 나눠주기에만 해당하지 않습니다. 경제, 교육, 사회, 문화, 언론 모든 분야에서 기회의 균등과 공정한 경쟁은 외면하고 산술적인 평등만 따지고 있습니다. 남과 다름은 인정받지 못하고 획일적인 같음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분배우선과 평등주의에 매몰된 하향평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사이 우리 대한민국의 경쟁력은 추락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뒷걸음치고 있습니다.
며칠 전 국내 유수의 경제연구소는 지금 경쟁력 강화에 실패하면 잠재성장률은 2.6%로 낮아지고, 1인당 소득도 1만달러 이하로 떨어져 남미형 후진국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을 내 놓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듯 과거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잘 살았던 나라에서 세계의 가정부로 전락한 필리핀, 민중주의(populism) 실험으로 빈곤을 가져온 아르헨티나의 사례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분배와 평등에만 매달린 하향평준화 정책이 계속된다면 우리의 미래 역시 어두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 하향평준화의 대표적 정책인 수도분할과 공공기관 나눠주기는 반드시 철회되어야 합니다. 정부가 철회하지 않는다면 야당이 나서서 막아야 합니다. 그리고 국민투표를 실시해야 합니다. 이제 추락하는 대한민국을 다시 끌어 올려야 합니다.
10년 후 대한민국의 모습은 바로 지금 우리들이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