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께 심려 끼쳐 송구… 유사사고 재발 방지 최선”
[시민일보=황혜빈 기자] 지난 18일 춘천 공군부대에서 발생한 '천궁'(天弓) 유도탄 오발 사고는 정비 요원들이 케이블 분리 및 연결 절차를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원인이 정비요원의 단순 과실이었던 것으로 밝혀져 천궁은 정상 운용될 예정이다.
공군은 21일 유도탄 비정상 발사 조사결과 자료를 통해 “해당 정비작업 때는 유도탄에 연결된 작전용 케이블(황색)을 분리하고 시험용 케이블(흰색)을 연결한 후 점검해야 하나, 정비요원 간 의사소통이 명확하게 이뤄지지 않아 작전용 케이블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대 기능 점검을 수행했다"며 "이로 인해 점검용 노트북을 통해 입력된 발사신호가 유도탄까지 공급됐고, 유도탄은 발사된 후 자동폭발 시스템에 의해 약 3.5초 만에 공중 폭발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18일 오전 10시38분께 춘천의 공군부대에서 정비요원들이 천궁 유도탄의 발사대 기능을 점검하던 중 1발이 비정상 발사됐다.
천궁은 적 항공기 격추용 유도탄으로, 발사 후 목표물 타격을 위한 레이더 유도를 받지 못하면 자폭하도록 설계됐다.
당시 발사된 천궁은 전투대기 상태가 아니었고 목표물도 설정돼 있지 않아 인근 상공에서 자폭했으며, 인명피해는 없었다.
다만 천궁의 발당 가격은 15억원으로, 상당한 국가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사고 직후 공군작전사령부와 국방과학연수고, 제조사 LIG넥스원,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참여하는 민·관·군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오발의 원인을 조사했다.
현장조사와 관련자 진술, 모의시험 및 검증 등을 통한 조사 결과, 천궁 정비작업 중 정비요원들이 케이블 분리 및 연결 절차를 준수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공군은 정비작업 중 과실을 범해 사고를 발생시킨 정비요원 등의 관련자들을 문책위원회에 회부할 예정이다.
공군은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유사 사고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사고 조사과정 중 식별된 문제점을 철저히 점검, 보완하는 한편, 국방과학연구소, LIG넥스원, 국방기술품질원 등에 자문해 운영 절차를 지속 보완해 안전하게 무기체계를 운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천궁은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정부 주도 하에 개발돼 2017년 11월 최초 실사격됐다.
이때 사격된 천궁 2발은 발사 직후 공중에서 2차로 점화한 뒤 마하 4.5(약 5500km/h)의 속도로 날아가 약 40km 떨어진 표적을 정확히 명중했다.
천궁의 최대 사거리는 40㎞에 이르며, 고도 40㎞ 이하로 접근하는 적 항공기와 미사일 요격에 동원된다.
1개 발사대당 8기의 유도탄이 탑재돼 하나의 발사대에서 수초의 짧은 간격으로 단발, 연발 사격을 할 수 있다.
여러 대의 레이더 기능을 하나의 레이더로 통합한 3차원 위상배열레이더는 모든 방향에서 접근하는 수십 기의 적 미사일도 동시에 탐지 추적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