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결과 2006년 지방채 발행액은 2조8638억원(425건)으로 2005년에 비해 2974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방채발행총액한도제를 도입해 발행의 자율권을 부여했어도 자치단체의 지방채 발행액은 한도액 5조8649억원의 48.8%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행자부는 “지방의 지방의회, 주민, 시민단체 등 자율통제가 작동돼 지방재정 운영의 건전성이 유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별로는 도로건설 채무가 4.5조원(26%)으로 가장 많았고, 상하수도 3.1조원(18%), 지하철 1.7조원(10%) 등의 순이며, 단체별로는 광역단체 채무가 11.1조원(64%), 기초단체 채무 6.3조원(36%)으로 조사됐다.
또 2006년 말 기준으로 채무가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1조9843억원의 채무를 가진 부산시, 기초에서는 4348억원으로 성남시가 1위에 올랐다.
서울 중구, 인천 옹진군 등 45개 단체는 채무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자부는 “지방채무 규모는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장홍 기자mjh@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