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측은 사실을 왜곡하지 말라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7-05-07 20:08:5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 한나라당 경선룰 ‘8월경선-20만명’ 합의 사실과 관련, 대선후보 경선준비위원회에 이 전 시장 측 대리인으로 참여했던 박형준 의원은 지난 6일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체 선거인단 규모 20만명, 즉 ‘대의원 4만명, 책임당원 6만명, 일반국민 6만명, 여론조사 4만명’만을 합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맞는 말이다. 그래서 그 비율을 2:3:3:2로 정한 것 아니겠는가.

만일 여론조사를 4만명이 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면, 대의원 역시 4만명이 될 때까지, 책임당원과 일반국민은 6만명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투표를 실시해야 하는 게 맞다.

하지만 그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인가?

그렇다고 해서 한나라당이 공산당도 아닌데, 대의원과 책임당원 및 투표인으로 선정된 일반국민들에게 100% 선거에 참여하라고 강요 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당원이나 대의원, 일반국민 투표인단, 여론조사응답자 등에게 기회를 균등하게 주었으면 그것으로 족한 것이다. 투표하는 것도 권리이겠지만, 투표를 하지 않는 것도 권리다. 마찬가지로 여론조사에 응하는 것도 권리고 응하지 않는 것도 권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의를 깨려고 이러는 것 아니다”는 박 의원의 주장은 ‘억지’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한마디로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 다는 말이다.

특히 “대통령은 국민들이 뽑는데, 당원이 뽑은 후보를 내서 대선에서 2번 실패했다”는 정두언 의원의 주장은 심각한 사실왜곡이자 이 전 총재에 대한 명예훼손이다.

정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은 마치 대통령 후보가 될 자격이 없는 이회창 전 총재가 당시 민심을 얻지 못한 상태에서 당심을 등에 업고 한나라당 후보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노무현 후보에게 패했다고 말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당시 이 전 총재의 수행특보였던 맹형규 의원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여당인데다가 지지도도 탄탄해서 그의 주변에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당장 선거를 치러도 당선에 문제가 없을 만큼 기세도 당당했다. 그러나 두 아들의 병역의혹 등이 불거지고 선거쟁점화 되면서 지지율은 곤두박질치고 사람들은 하나 둘 떨어져 나가기 시작했다.”

그는 당시 당심은 물론, 민심에 있어서도 단연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었다는 말이다. 다만 그는 후보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의혹이 제기되자 급격하게 지지율이 떨어졌을 뿐이다.

만일 당시 이 전 총재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정이 있었다면, 당시 두 아들에 대한 병역의혹이 대수롭지 않은 문제였음을 세상에 미리 알릴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뒤늦게 불거진 문제에 대해 해명하기에는 이미 시간이 늦어버렸고, 그렇게 해서 이 전 총재는 억울하게 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정말 한나라당이 정권을 창출하기 위해서라면 이처럼 말도 안 되는 논리로 ‘경선 룰’을 바꾸자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후보검증 과정을 철저하게 하자는 주장을 펴는 게 맞다.

그런데 이 시장 측은 반대로 ‘네거티브 방지’라는 논리를 내세우며, 아예 후보검증과정을 차단하려고 하고 있으니 이게 어찌된 노릇인가.

물론 당내 경선에서는 후보 선출을 할 때 자당후보의 도덕성이나, 능력, 성격 및 병역 문제, 여성 편력 등에 대해 적당히 넘어갈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선에 가서도 그렇게 될 수 있을까?

천만에 말씀이다. 이회창 전 총재의 경우에서 보았듯이 없는 사실도 있는 것처럼 만들어 공격하는 게 선거의 본게임이다. 결코 적당히 넘어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이제 한나라당은 소득 없는 ‘경선 룰’ 논쟁을 집어치우고, ‘후보검증’ 논의에 본격적으로 들어가야만 한다.
특히 강재섭 대표는 합의된 ‘경선 룰’에 대해 억지로 중재안이라는 것을 만들어 재차 갈등의 불씨를 남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합의안이 아닌 어떤 중재안을 내놓더라도 그것은 해답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강 대표는 차제에 100% 외부인사들로만 구성된 후보검증위원회를 구성해, 철저하게 후보검증 과정을 거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지난 번 경선위원회를 구성할 당시, 강 대표가 필자의 제안을 받아 들여 외부인사들만으로 경선위원회를 구성했더라면, 이번과 같은 갈등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란 면에서 아쉬움이 크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