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경기도 끼뉴스(gginews. gg.go.kr)에 따르면 경기개발연구원(GRI) 기획조정실 정책분석팀 윤희웅 연구원은 최근 웹뉴스를 통해 “공무원 퇴출제는 파격적인 인사개혁안이기는 하지만 실효성과 객관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또 공무원 퇴출제가 성과 지향적 인사관리제도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성과 지향적 인사관리는 유능한 인재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해 적극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인데 ‘퇴출제’가 곧 성과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3% 퇴출인원 강제 할당과 관련해서도 “각 실·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천편일률적으로 퇴출인원을 정하라는 것이 문제”라며 “3%라는 인위적인 수치 설정은 객관적이지 못한 기준”이라고 지적했다.
윤 연구원은 퇴출후보자들에 대한 교육내용도 문제점으로 꼬집었다.
그는 “퇴출 공무원에 대해 소양교육을 실시하거나 잡초를 뽑게 하는 등의 현행 재교육방식이 효과적이지 않다”며 “구체적인 수행 능력을 배양케 하는 등 차후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연구원은 “일 잘하는 공무원이 더 신명나게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퇴출보다는 다양한 인센티브제를 마련해 열심히 일하는 만큼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수원=최원만 기자cwm@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