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지지를 철회할 때가 아니다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7-10-07 13:12:5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이명박 후보의 선대위 고문직을 수락할 것이라는 예측보도가 나오자, 그를 지지했던 사람들이 술렁이기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보도가 ‘사실이냐 아니냐’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는가 하면, 또 다른 일각에서는 “이제 박근혜에 대한 지지를 철회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분노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 박사모 회원들은 7일 속리산 유스타운에서 진행된 워크숍을 마치는 대로 상경해 박 전 대표 저택 앞에서 “고문직을 수락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시위를 벌일 예정이라고 한다.

이 같은 모습을 지켜보는 필자의 마음은 참담하기 그지없다.

그래서 지난 달 16일 절필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펜을 잡을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린 것이다.

우선 선대위원장 수락여부는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

어디까지나 박 전 대표 측근의 말을 인용해 추측성 보도를 한 것일 뿐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박 전대표가 고문직을 맡지 않을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고문이라는 게 실무직도 아니고, 단지 이름만 걸어놓는 것인데 ‘백의종군’을 선언한 마당에 그마저 거절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따라서 선대위 고문직 수락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이 될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때문에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겠다”는 선언이 잇따르고 있으니, 그것이 걱정이다.

실제 박사모 회원인 <슈퍼맨7>은 7일 “아무 이익도 없이, 사심 없이 시간과 돈을 투자하면서 당신을 위해 그렇게 노력했건만, 그런 작은 명예직인 고문직이 그리 좋았습니까?”반문하면서 “저를 포함해서, 그동안 노심초사한 5만에 가까운 박사모는 뭐가 됩니까? 고문직을 선택하는 순간, 5만회원은 당신을 떠날 겁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07필승>은 “정말 이명박을 돕겠다는 작정이 섰다면 선대위원장 수락하고 선거의 맨 앞장에 서서 철저히 이명박 전도사로 뛰라고 권유하겠다”며 “그게 아니라면 고문직 따위 수락은 정말 피해야 된다.

이런 행태야말로 박근혜식 정치가 절대 아니다”고 지적했다.

<조작된 신화>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항상 정의에 편에선 근혜님이 좋았는데, 그렇게 명바기(이명박 후보 지칭)는 안된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무슨 이유와 명분으로 선대위활동을 할는지 모르겠다”며 “이제 박사모를 떠날 때가 된 것 같다”고 한탄했다.

물론 박 전 대표에게도 생각이 있을 테니 조금만 더 지켜보자는 의견도 일부 있으나, 이 같은 흐름을 막지는 못했다.

하지만 아직은 지지를 철회할 때가 아니다.

12월 19일 대선까지는 아직도 시간이 많이 남아있다.

그리고 지금 박사모 회원들이 이명박 후보와 한나라당을 피고로 하는 경선무효소송, 대권후보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에 이어 지난 2일에는 강재섭 대표와 박관용 전 경선관리위원장을 상대로 '투표수 증감'과 관련된 형사 고발까지 한 상태다.

특히 가처분 결정에 대해서는 이 후보 쪽에서 한번 연기를 신청했으나, 3번 이상은 연기 할 수 없다.

따라서 12월 19일 이전에 결정이 난다.

더구나 대통합신당 소속 유시민 의원은 최근 한나라당 경선에 부정이 있었음을 밝힌 마당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당원들이 유 의원을 검찰에 고발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면 유 의원은 자신의 발언을 입증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진짜 부정한 방법이 있었다면 사실로 드러날 것 아니겠는가.

유 의원은 그 사실을 확인하는 데는 몇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고 장담한 바 있다.

필자 역시 대선 이전에 얼마든지 그 사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은 끝난 게 아니라는 말이다.

여전히 후보교체 가능성은 남아 있으며, 시간도 충분하다.

더구나 10월 국회는 이 후보에 대한 검증국회가 될 것이 불 보듯 빤한 상황이기 때문에 언제 그가 추락 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금 “박사모를 떠나겠다”거나 “지지를 철회한다”는 선언은 성급한 것이다.

조금 더 지켜보다가 후보교체가 끝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그 때 가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든지, 아니면 문국현 후보 등 다른 대안 후보를 지지해도 늦지 않다.

어떤 면에서는 박 전 대표가 고문직을 수락하고, 언론의 관심을 받는 게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