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필자가 안고 있는 고민은 오피니언리더들의 공통된 고민일지도 모른다.
경제가 어렵다. 그것도 너무나 어렵다. 게다가 빈부격차가 날로 극심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서민들의 생활고가 그 무게를 한층 더해가고 있다.
국제사회마저 우리를 우습게 여긴다.
중국은 이어도 문제로, 일본은 독도 문제를 가지고 우리를 조롱하고 있으나 이명박 정부는 뾰족한 대응책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다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뤄낸 ‘위대한 경제성장’이라는 업적이 한 순간에 ‘우르르’ 무너지는 것이나 아닌지 걱정스럽다.
잘 알다시피 건국 이후 한국경제는 국민소득 2만 달러, 교역규모 7300억 달러의 경제규모로 급성장했다.
수출은 농산품에서 제조업으로, 경공업제품에서 중화학제품으로 주력상품이 변화해 2005년 현재 중화학공업제품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3.1%를 기록하고 있다.
물론 이런 성장 기반을 다진 사람은 바로 박 전 대통령이다.
그가 있었기에 오늘날 우리가 이만큼이나마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위기다. 이대로 가다가는 세계 유가하락에 따른 물가하락과 경제성장 둔화가 겹쳐져 ‘저물가-저성장’이라는 우려할 만한 상황을 맞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다 ‘제2의 필리핀’이 될지도 모른다.
특히 한국의 외국직접투자(FDI) 잠재력은 17위로 평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 제도의 미비와 폐쇄적 이미지 등으로 인해 실제 실적은 115위에 머물러 있는 상태라고 한다.
이는 대외적 이미지를 쇄신하고 국제사회에서의 부정적 인식을 바로잡지 않는 한 지금의 경제위기에서 벗어날 길이 없다는 것을 단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는 지표인 셈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대외적인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비춰지는 데는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한 몫을 하고 있을 것이다.
사실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가 20%대라면 그 정부는 ‘죽은 정부’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런 정부를 믿고 투자할 외국자본이 얼마나 되겠는가?
따라서 이명박 정부는 무엇보다도 먼저 지지도를 조금이라도 끌어 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무엇보다도 먼저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은 바로 정부를 믿을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10%대를 벗어나 20%대 중·후반을 기록하고 있고 심지어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30%대 초반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KBS가 14일 보도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이 대통령의 지지도는 31.0%였고, 국민일보 조사에서는 26.5%였다.
이날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공표한 국정운영 지지도는 7월 말 조사에 비해 4.9%포인트 상승한 23.4%였다.
또 리서치앤리서치의 13일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지지도는 28.5%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런 상승추세가 계속될지는 불투명하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를 만한 뚜렷한 호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일 들려오는 금메달 소식에 따른 ‘베이징 올림픽 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즉 지지율이 대통령에 대한 신뢰 회복을 통해 바닥을 다지면서 올라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취약하다는 말이다.
경제를 살리자면 무엇보다도 먼저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올라야하고, 그러자면 이 대통령에 대한 신뢰회복이 급선무다.
방법은 있는가?
물론 있다. 지금 정치인들 가운데 국민들로부터 가장 신뢰를 받는 정치인이 누구인가?
바로 그 정치인의 손을 잡고, 간곡하게 도움을 청하면 된다.
그리고 그의 조언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그를 따르는 사람들을 더 이상 핍박하지 않으면 바닥까지 추락한 신뢰도를 회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가능하다면 오히려 그들을 중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다만 거기에는 진정성이 담겨 있어야 한다.
현재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꼼수’로 그의 손을 잡는 척만 하다가는 더 큰 위기를 맞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미 한 번 “속았다”는 표현을 한 사람이다.
다시 그를 속이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