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민일보가 ‘제 6회 행정.의정 대상’ 수상식을 실시했는데, 유사한 이름의 상이 여기저기서 만들어져 이제는 아예 ‘돈 주고 받는 상’까지 나온 모양이다.
실제 모 자치구와 모 지방의회가 ‘한국지방자치경영 대상’과 ‘대한민국 의정대상’을 수상했다는 내용의 현수막을 청사와 의회 외벽에 대문짝하게 내걸었으나, 이게 사실상 ‘돈 내고 받는 상’이라는 의혹이 제기된 것.
모 사단법인과 모 언론사(시민일보 아님) 공동주최로 만들어졌다는 ‘한국지방자치경영대상’이나 ‘대한민국 의정대상’(시민일보 의정대상 유사품)이라는 그럴듯한 이름을 내건 이 상을 받으려면, 무조건 돈이 따라야 한다.
구체적으로 창의혁신부문에서 한국지방자치경영대상을 수상했다는 모 자치단체는 심사비 400만 원과 전화만족도 조사비 명목으로 100만 원 등 500만 원을 냈다고 한다. 이쯤 되면 500만원에 상을 산 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모 자치단체는 지난해 400만 원을 내고 보건복지 부문 대상을 받았다고 한다.
모 지방의회도 이 단체가 주는 의정대상을 받으면서 150만 원의 심사비를 냈다고 한다.
만일 독자 여러분이 살고 있는 지역 단체장이나 의회가 ‘한국지방자치경영대상’을 받았다고 선전하거나, ‘대한민국 의정대상’을 받았다면, 분명히 여러분들의 혈세로 그 상을 산 것이라고 생각하면 맞을 것이다.
따라서 여러분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소속 단체장이나 지방의회가 그런 ‘엉터리 상’을 받았다면, 강력하게 항의할 필요가 있다.
지금도 시민일보의 ‘의정대상’과 ‘행정대상’이라는 상과 유사한 명칭 혹은 같은 이름의 명칭으로 ‘사이비 의정대상’과 ‘사이비 행정대상’이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모 지역신문협회에서는 뻔뻔하게도 아예 이름마저 ‘의정대상’이라고 똑 같이 붙였다. 물론 시민일보의 ‘의정대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이비다.
시민일보가 제정한 ‘의정대상’과 ‘행정대상’은 이번이 6회째다.
다른 상들처럼 수상자들로부터 돈을 받는 일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첫 회부터 지금까지 단 한 푼도 참가비 명목 등 그 어떤 명목으로도 돈을 받은 적이 없다.
또 무슨 협외에서 주는 이상한 상처럼 상을 들고 수상자들을 개별적으로 찾아가 목에 걸어주는 이상한 짓도 하지 않는다.
그러니 당연히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고, 시민일보의 ‘의정.행정 대상’에 대한 위상 또한 매우 높다.
이러니 중앙정치권에서도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에는 강재섭 당시 한나라당 대표가, 이번에는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직접 참석해 수상자들을 축하해 주었다.
수도권 지역의 ‘내로라’하는 정치인들치고 이 상을 받지 못한 정치인은 없을 정도다.
다른 상들과 달리 시민일보 상은 ‘일을 해야만 받는 상’이다.
한 차례의 시상식을 가지려면 막대한 예산이 들어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일보>가 이런 시상식을 매년 갖는 이유가 무엇인가?
바로 정치가 바로 잡히기를 기대하는 언론의 사명감 때문이다.
정치인들, 중앙정치건 지방정치건 잘 하는 정치인들을 선정해 그들을 격려하고 그들의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은 더 잘하라는 채찍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쌀 소득 직불금을 부당하게 수령한 언론인의 수가 수백명이라고 한다. 그런데 자랑스러운 것은 우리 <시민일보> 기자들 가운데는 그런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다는 점이다.
<시민일보>기자들은 ‘깨끗한 언론’,‘깨끗한 기자’라는 자부심이 실로 대단하다. 다른 지방지 기자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 데에는 이런 자부심이 밑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세상에 당당하게 진실을 말할 수 있는 데에는 이런 자부심이 한 몫을 하고 있을 것이다.
모쪼록 ‘제6회 의정.행정 대상’을 받으신 모든 분들께 축하의 말과 함께 상을 받으신 만큼, 더 많은 일을 해 달라는 당부의 말을 전하는 바다.
아울러 여러분들은 ‘일하고 받는 상’에 대한 긍지를 가지시고, ‘돈 내고 받는 상’을 받은 자들을 부끄럽게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