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는 ‘태격 발굴 보고대회’를 오는 14일(금)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서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개최한다.
전라북도와 태권도진흥재단이 후원하고 한국무예연구소와 김제시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대회는 이건식 김제시장을 비롯해 최규성, 유성엽 국회의원, 태권도진흥재단 이대순 이사장, 대한태권도협회 조영기 상임부회장, 최문식 김제시 재경향우회장 등 문화, 언론, 체육, 무술관련 단체 및 재경향우 회원 등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날 대회는 이건식 김제시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축사와 태격의 발굴 과정에 대한 영상물이 상영되며 본격적인 보고회 시간에는 ‘태격의 역사와 특성’, ‘태격의 사상과 배경’, ‘태격의 호흡과 동작’을 주제로 한 연구발표가 진행될 계획이다.
특히 한국무예 역사상 유일하게 내려오는 가전무예로서 율곡의 이기일원론의 뿌리를 둔 사상적 기반을 둔 무예라는 점을 강조하고 그 무예교본으로서 내려오고 있는 ‘천하태격대보도’의 존재도 알려 전북이 무예고장으로서 이미지도 정립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제시는 지난해 전국 태권도 품새대회에서 ‘태격’을 처음 소개했으며 태권도 관련 기관과 한국무예 역사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지난해 10월 김제지평선축제 개최시 메인 행사로 태격시연 행사를 개최한 바 있다.
한편 심승구 한국체육대학 교수는 태격이 김제지역에서 내려오고 있는 이유에 대해 “만경평야의 넓은 농토가 있는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장사를 우대하고 독려하는 분위기속에서 씨 뿌리고 땅 덮는 형태의 발질과 지게질의 원리에 입각한 균형 등의 자세는 지역성과 민간의 생활양식이 반영된 것이라”며 “김제에 태격이 출현하고 고려시대에 두경승, 극진가라데를 창시한 최영의와 같은 인물, 태권도에서 지도관 출신들이 이곳에서 배출되었다는 사실은 김제지역이 무예가 발달했음을 대변해주는 근거라”고 설명했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