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라인’ DB에 등록된 매물 3637건(2월 등록 분)을 분석한 결과 오락·스포츠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 권리금이 평균 6.96% 감소했다. 아울러 전체 매물은 1월 3278건에서 2월 3637건으로 10.95% 증가했다.
2월 들어 권리금이 가장 많이 떨어진 업종은 주류업종으로 조사됐다. 주류업종의 1월 권리금은 1억 1010만원이었으나 2월 들어서면서 11.46% 빠진 9748만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주류업종의 하락세는 퓨전주점과 호프주점, 카페 식 주점의 권리금이 1월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카페 식 주점은 1월 1억 3900만원에서 2월 들어 8004만원으로 42.41% 폭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퓨전주점은 1월 1억 3120만원에서 2월 들어 1억 712만원으로 18.35%, 호프주점은 1월 1억 1103만원에서 2월 9939만원으로 10.48% 각각 하락했다.
패스트푸드 업종도 평균을 넘는 권리금 하락세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 업종의 권리금은 1월 1억 5352만원에서 2월 1억4057만원으로 8.43% 하락했다. 이는 햄버거 전문점의 2월 권리금이 1월 대비 42.25% 하락하면서 낙폭을 키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PC방과 편의점, 슈퍼마켓 등 일부 업종은 전체적 하락세 속에서도 권리금이 되레 오르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슈퍼마켓은 1월 9285만원에서 1억 2387만원으로 33.40% 올라 최고 상승율을 기록했다. 이어 편의점은 1월 8500만원에서 2월 1억 703만원으로 25.91% 올랐고 PC방은 1월 8411만원에서 2월 8814만원으로 4.79% 올랐다.
이 같은 현상은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보다 동네 슈퍼와 편의점을 이용하는 소량 구매 족이 늘어난데다 취업대란으로 갈 곳 없는 사람들이 PC방으로 모이는 등 불황이면 나타나는 전형적인 소비패턴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