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을 대하는 국민 여론이 너무나 좋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한나라당의 미래가 암울하기 그지없다.
한국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7일 이틀 동안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당 지지도에서 민주당(29.4%)이 한나라당(27.3%)을 2.1% 포인트 앞섰다.
앞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3일 휴대전화로 실시한 정례 여론조사 결과도 민주당이 전주 대비 6.9%p 상승한 27.9%를 기록해 한나라당(24.0%)을 3.9%p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지난 1일 한겨레·리서치플러스가 발표한 여론조사서도 정당 지지도에서 한나라당은 18.7%를 얻어 지지율이 20%대 아래로 추락한 반면, 민주당은 27.1%로 치솟았다.
또 전날 정치컨설팅사인 윈지코리아의 여론조사에서도 민주당은 27.3%의 지지도로 20.8%에 그친 한나라당을 추월했다.
한 두 곳의 여론조사가 아니라, 대부분의 여론조사 결과가 이렇게 나타났다는 것은 ‘민주당 우세’, ‘한나라당 열세’가 현재의 판세임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 오세훈 서울시장과 민주당 예상 후보들과의 가상대결 결과는 더욱 참담했다.
서울시장 선거에 한명숙 전 국무총리와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장관, 손석희 성신여대 교수가 출마할 경우 오세훈 현 서울시장은 처참하게 무너지고 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주간지 <시사IN>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2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다.
실제 한 전 총리는 43.8%로 33.8%를 얻은 오 시장은 아예 상대가 되지 못했다.
유 전 장관이나 손 교수가 출마해도 오 시장보다는 높은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한나라당에서 오 시장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출마할 경우, 이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
사실 지방선거는 광역 자치단체장 선거가 판세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어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를 찍은 유권자라면, 기초자치단체장이나 광역의원 및 기초의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권자들은 지금 광역 단체장 후보로 민주당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기초자치단체장 등 다른 선거는 그 뚜껑을 열어 보나 마나다.
그렇다면, 이런 구도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한나라당의 ‘쇄신’ 결과에 달려 있다.
한나라당이 제대로 방향을 잡고 정상적인 ‘쇄신’을 이뤄낸다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에 따른 반사이익에 불과한 민주당 지지율을 따라잡는 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쇄신’을 이끌어 내지 못하고, 적당히 현재의 위기를 봉합하는 수준에서 마무리할 경우 한나라당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한나라당은 지금 ‘쇄신’의 가닥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특히 친이(親李, 친 이명박) 진영이 그렇다.
지금 가장 중요하고도 시급한 것은 독단적인 이명박 정권의 국정운영 방식에 제동을 거는 시스템을 당내에 마련하는 것이다.
사실 지난 4.29 재.보궐선거의 참패 원인도 따지고 보면 박희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의 무능 탓이라기보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실제 현재의 민심은 ‘반(反)MB’다. 노 전 대통령의 조문행렬도 그에 대한 지지라기보다 ‘반MB’의사를 표현하는 국민들의 처절한 몸부림이라고 보면 맞을 것이다.
그런데 친이 진영에서는 “조기전당대회를 통한 당내 화합”을 쇄신의 본질로 이해하고 있으니 답답하기 그지없다.
설사 그들의 요구대로 조기전당대회를 통해 박 전 대표나 친박 측 인사가 당권을 잡고, 친이-친박 세력이 ‘똘똘’ 뭉친다고 해도 국정운영방식의 틀을 바꾸지 못한다면, 그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그렇게 될 경우, 오히려 한나라당 지지율은 지금보다 더 추락할 뿐이다.
그나마 당내에서 친박 세력이 이명박 정권의 오만한 국정운영 방식에 제동을 걸어주기 때문에 한나라당 지지율이 그 정도라도 나오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만일 친박 측 마저 현 정권의 요구에 전적으로 순응하는 태도를 취한다면, 한나라당은 그날로 끝이다.
어쩌면 이게 한나라당을 향한 마지막 경고가 될지도 모른다.
한나라당은 조기전당대회라는 꼼수를 부리기에 앞서 당권-대권 분리 원칙을 확실히 준수하는 시스템을 먼저 마련하라.
누차에 지적했듯이 어쩌면 MB를 버리는 게 한나라당이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인지도 모른다. MB에게 탈당을 종용하거나 아예 강제적으로 출당조치 시키라는 말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반(反)MB 비(非)민주’라는 지금의 국민정서를 대변할 ‘대안정당’의 탄생은 단지 시간문제일 뿐이다.
이제 친박 측도 MB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민심에 따라 ‘대안정당’을 선택할 것인지 심도 있게 고민할 때가 된 것 같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