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신도시 ‘잠재성’을 주목하라

차재호 / / 기사승인 : 2009-08-11 15:48:4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3~4년후 자생력 갖춘 ‘명품도시’로 탈바꿈 예고 상반기 대규모 분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청라에 비해, 주택 위주로 개발되는 김포한강신도시는 실거주 수요 이외에는 기대하기 어렵지 않냐는 다소 이른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는 불과 3~4년 후면 고부가 산업으로 자생력을 갖추게 될 김포시의 잠재력을 과소 평가한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2009년 인구 20만의 김포시가 2013년경에는 인구 50만의 미래형 신도시로 탈바꿈하게 되기 때문이다. 현재 김포시에는 김포한강신도시 외에도 경인아라뱃길 사업, 김포한강시네폴리스 등 작게는 수백 억 원에서 많게는 조 단위에 이르는 대형 국책 프로젝트가 동시 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한강시네폴리스는 김포시와 김포시도시개발공사의 중점 사업으로, 지난해 5월 지자체들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시네폴리스 사업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한강시네폴리스(Cine-Polis)는 한강변과 인접한 김포시 고촌면 걸포동과 향산리 일대 총 2,710천㎡(약 81만평) 부지에 2016년까지 2조 2,870억 원을 들여 첨단영상문화도시를 세우는 사업이다.

한강시네폴리스에 영상산업 클러스터, 스튜디오, 창작아틀리에, 마리나 시설, 쇼핑 및 엔터테인먼트를 구축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첨단영상문화도시로 거듭날 계획이며, 2012년 1단계완공 후에는 문화컨텐츠 생산시설 및 지원시설이 들어서고, 2016년 2단계 완공 후에는 컨벤션, 상업시설, 주거시설 등이 들어서 시나리오 제작부터 촬영, 편집, 유통을 단지 내에서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강시네폴리스가 유치한 영상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의 주택 수요 및 사업완공시 크게 늘어날 산업인구의 주택 수요 발생으로, 김포한강신도시는 배후 주거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김포한강신도시를 인천·김포 공항 종사자 및 서울 서부권으로 출퇴근하는 실수요자용 주거단지로만 보는 견해는 김포시의 잠재력을 저평가한 것이라는 김포 지역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차재호 차재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