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과 올해 7월 점포거래 포털사이트 점포라인 DB에 등록된 강남 3구의 점포매물 1362건(2008년 12월 796건, 2009년 7월 566건)을 분석한 결과 올해 7월의 평균 점포 매매가는 지난해 12월 대비 평균 7.73% 하락한 반면 월 평균 매출액은 평균 18.56%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통상 매매가 하락과 월 매출액 상승이 맞물리는 것은 해당 점포의 월 수익률이 높아짐에 따라 투자원금의 회수 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월 매출액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강남구로 나타났다. 강남구의 평균 점포 매매가는 1억9069만원에서 1억7343만원으로 9.05% (1726만원) 감소했지만 월 평균 매출액은 1609만원에서 2233만원으로 38.72%(624만원) 증가했다.
강남구와 이웃한 서초구도 마찬가지 양상을 보였다. 서초구 점포의 평균 매매가는 1억7250만원에서 11.77%(2031만원) 감소했지만 월 평균 매출액이 1549만원에서 1782만원으로 15.05%(233만원)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송파구 점포 역시 변동폭은 적었으나 기본적으로 강남·서초와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평균 점포 매매가는 1억4544만원에서 1억4201만원으로 2.36%(343만원) 감소했지만 월 평균 매출액은 1557만원에서 1.91%(30만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강남 3구의 월수익(월 매출에서 마진율을 적용한 금액) 역시 상당히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점포의 월수익이 893만원에서 1544만원으로 72.78%(651만원) 올라 수위를 차지한 가운데 서초구와 송파구도 각각 57.67%(480만원), 18.77%(190만원) 올랐다.
이번 조사 결과는 강남 3구 점포에 끼어 있던 거품이 빠져 나가면서 기존 점주는 물론 신규 창업자들에게도 이 지역이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점포라인 정대홍 팀장은 “분석 과정에서 각 지역 점포의 최고 매매가가 최대 2억원, 보증금의 경우는 최대 4억원 이상 빠진 것으로 조사됐다”며 “보증금이 높은 점포는 추후 가게 양도 시 난항을 겪을 공산이 크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지만 최근의 강남 3구 점포 시세는 그런 부담을 많이 줄여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점주들의 위기의식 촉발에서 기인한 인건비 절감 등 자구 노력이 월수익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창업 희망자는 서둘러야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