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2개월새 1억 떨어진 급급매물도 등장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이 연일 하락세를 보이면서 주간 변동폭으로 올 들어 가장 큰 하락세를 기록했다.
총부채상환비율(DTI)규제와 재건축 매수자 자금출처조사 등으로 투자심리가 사그라지면서 강남권에는 약 2개월새 1억 원 가까이 호가를 낮춘 재건축 급매물도 등장하고 있다.
일반 아파트 시장에서도 보금자리주택, 신규 분양 등에 관심이 분산되면서 기존 아파트 거래는 한산한 모습이다.
15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가 11월 둘째 주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보합세를 나타낸 인천을 제외하고 서울(-0.03%)과 신도시(-0.02%), 경기(-0.03%) 모두 전주대비 하락세를 기록했다.
재건축의 경우 서울과 경기 각각 0.16%, 0.15% 하락했다. 서울의 경우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9월 이후 상승세가 다소 잦아들다가 지난달 8일 DTI규제가 제2금융권까지 확대되면서 최근에는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고 있다. 강남(-0.23%), 강동(-0.29%), 송파(-0.74%), 과천(-0.24%) 등 주요 지역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중랑(0.09%), 동대문(0.08%), 마포(0.06%), 용산(0.04%) 4곳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마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소형 아파트가 거래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한 경우다.
마포는 균형발전촉진지구에 포함되지 않는 합정동 일대의 아파트가 시세를 견인했다. 한강변 다른 지역에 비해 시세가 저평가됐다는 심리와 초고층 개발 기대감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합정동 동원한강파크빌 115㎡의 경우 5억~5억5000만 원으로 한 주 사이 3000만 원 올랐다.
반면 서초(-0.04%), 강동(-0.05%), 도봉(-0.09%), 양천(-0.10%), 송파(-0.20%), 중구(-0.48%)는 내림세를 기록했다.
서초, 강동, 송파는 재건축 아파트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이들 지역은 더딘 재건축 사업으로 매수세가 끊긴 상태이며 특히 송파구의 경우 가락시영 재건축이 발목을 잡히면서 주변 재건축 시장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서초동 삼익건설 152㎡형은 시세가 9억8000만~11억5000만 원으로 전주에 비해 2500만 원 내렸으며 송파구 신천동 장미1차 128㎡형도 10억5000만~11억5000만 원으로 2000만 원 하락했다.
8월말까지도 상승세가 이어지던 강동구에서도 급매물이 나오고 있다. 상일동 고덕주공 5단지 89㎡형은 8억~8억3000만 원으로 지난주에 비해 1000만 원 내렸다.
경기도는 구리(0.09%)만 상승세를 보였으며 분당(-0.06%), 성남(-0.06%), 남양주(-0.12%), 과천(-0.12%), 광명(-0.18%), 포천(-0.37%) 등 나머지 지역은 하락세 또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구리는 보금자리주택과 겹치지 않는 중대형 아파트가 거래되면서 상승세를 기록했다. 토평동 삼성래미안 149㎡형이 6억3000만~7억2000만 원으로 지난 주에 비해 1500만 원 상승했다.
광명과 남양주는 대출규제로 매수세가 얼어붙은 가운데 신규입주 단지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광명은 철산동·하안동의 재건축 대단지와 소하택지지구 입주 영향으로, 남양주는 진접지구 신규 대단위 아파트가 입주를 한다.
철산동 주공7단지 62㎡는 4억3000만~4억7000만 원으로 전주대비 500만 원 내렸고 남양주는 퇴계원면 강남건영1단지 148㎡의 매매가 3억4000만~3억7000만 원으로 500만 원 하락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