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햇살] 與 ‘나경원표’ 공천 개혁 잘될까?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0-11-04 14:28:5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여야 모두 귀에 익은 ‘공천 개혁’이라는 소리를 하는 것을 보면, 바야흐로 정치의 계절이 다가온 것 같다.

실제 코앞으로 다가온 2012년에는 총선과 대선을 치러야 한다.

여기에서 승리하려면, 여든 야든 반드시 ‘공천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특히 정당의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공직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만일 이 기능이 잘못된다면, 즉 공천제도에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그 정당에게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정작 우리나라 정당사에서 가장 낙후된 제도 가운데 하나가 바로 공천제도다.

여기에는 한나라당과 민주당과 같은 대중정당은 물론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 같은 이념정당까지 예외가 없다.

지난 18대 총선의 경우를 살펴보자.

한나라당은 ‘친이계 독식공천’, ‘친박계 대학살 공천’이 이뤄졌다.

이로 인해 정당사상 전무후무한 ‘친박연대’라는 기상천외한 이름의 정당이 탄생했고, 이들 정당 후보들이 한나라당 후보들을 누르고 대거 당선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민주당도 예외는 아니다.

대통합민주신당과 구 민주당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있었고, 결국 ‘나눠먹기 공천’이 진행되다보니, 참신한 인재 발굴은 꿈도 꿀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민주당은 18대 총선에서 참패하고 말았다.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나 이런 식의 구태의연한 공천이 되풀이될 경우, 19대 총선은 물론 대선승리를 결코 장담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인 한나라당이 ‘공천개혁’을 위해 칼을 빼들었다.

한나라당 공천제도개혁특위 위원장인 나경원 최고위원은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개혁의 핵심은 공천심사위원회가 선의로 작동하기 어려운 분을 어떻게 해소하느냐와 공천권을 국민과 당원에게 돌려주는 것 두 가지”라고 강조했다.

지난 6.2지방선거와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어려웠던 점을 생각하면 공천 개혁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맞는 말이다.

만일 2012년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지난 6.2 지방선거 때처럼 ‘오만한 공천’을 하거나, 18대 총선 때처럼 ‘계파독식 공천’을 단행할 경우, 국민들로부터 외면을 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 최고위원의 ‘공천개혁 방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다.

일단 공심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야 한다거나, 공천권을 국민과 당원에게 돌려야 한다는 등의 방향설정은 매우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공천 개혁에는 반드시 기득권 세력의 반발이 따른다는 점에서 과연 나경원 최고위원이 성공적으로 공천제도를 바꿀 수 있겠느냐 하는 점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당을 장악하고 있는 친이계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텐데, 사실상 양지에서만 살아오던 그가 거대한 친이계의 반발에 맞서 싸울 배짱이 있느냐 하는 점에서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또 설사 개혁 공천이 나 최고위원의 계획대로 이뤄진다고 해도 과연 각 지역위원회에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당원들의 확보가 가능 하느냐 하는 점 역시 회의적이다.

특히 지난 대통령 선거당시 이명박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로 선출되는데 민주당 지지자들의 ‘역선택’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과 같은 일이 되풀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다.

이러다 변죽만 울리는 ‘공천 개혁’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나경원 최고위원 스스로 “국민경선제만이 총선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 총선 승리 없이는 대선 승리가 있을 수 없다”고 거듭 공천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한번 믿어 보고 싶다.

한나라당 역사상 길이 남을만한 ‘나경원표’ 공천제도, 그래서 민주당 등 야당도 따라하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의 개혁적인 공천 제도를 만들어 주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특히 나 최고위원의 지역구인 서울 중구는 현재 구청장 당선자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다. 따라서 내년 4월 재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때 나 최고위원이 어떤 방식으로 한나라당 구청장 후보를 공천할지 지켜보겠다.

만일 공천개혁에 진정성이 담겨 있다면, 자신의 지역구부터 먼저 개혁공천 방식을 적용한 후보를 선택하는 게 맞다.

모쪼록 한나라당이 ‘공천 개혁’이라는 칼을 빼든 만큼, ‘나경원표’ 공천 개혁이 구호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성공적으로 이뤄지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