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건축물 자체소방대 조직해야

진용준 / / 기사승인 : 2010-11-09 14:39:2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조영운(인천공단소방서 안전팀장) 조영운(인천공단소방서 안전팀장)

소방방재청이 올해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 제출한 국내 고층건축물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1월1일 기준으로 지상 11층부터 49층까지의 건축물은 8만3686개소로 집계됐다.

이중 11층부터 30층까지 건축물이 8만3005개소로 나타났으며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은 39개소로 준공이 됐거나 공사 중 또는 허가, 설계ㆍ계획을 포함하면 향후 125개소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이렇듯 날로 늘어만 가는 초고층건축물의 화재예방 및 초동대응을 하기 위하여 현시점에서 어떤 문제점들이 있고 개선방안이 있는지 지난 10월1일 부산 해운대 우신골드스위트 화재를 교훈삼아 찾아보고자 한다.

먼저 이번 부산화재로 인한 고층건축물 화재재발방지 주요 개선 검토사항을 살펴보면, 외벽마감재 규제, PIT층 설치, 전용헬기 도입, 연결송수관 전용배관 설치 등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이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것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화재발생시 초동 조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인천공단소방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송도 The #First World를 대상으로 초고층건물 현장 활동 대응매뉴얼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그 한 대상에 대한 분량만 무려 375페이지에 이른다. 그리고 관할지역내에 동북아무역센타(68층)가 있으며 앞으로 151층 인천타워가 건립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관할하는 센터 및 서의 소방공무원만의 연찬 및 훈련으로 화재 시 초동대응을 완벽히 하기엔 부족함이 많다.

소방관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화재통보, 인명대피, 비상용승강기 통제 등을 얼마나 신속히 체계적으로 하느냐에 초고층건물 화재 시 인명피해 및 연소확대 방지의 승패가 달려있다. 이러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조직이 바로 자체소방대인 것이다.

안전의식이 습관적으로 몸에 배인 일본에서 조차도 안전교육만으로 재난예방이 어렵고 시스템 하드웨어로 안전관리를 구축해야 한다는 실험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초고층 건축물에 있어 화재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화재 발생시 확산이전단계에서의 활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신속한 초동대응이 요구되며 또한 현장에 도착했어도 건물 구조에 익숙하지 않으면 초동대응이 늦어져 화재확산으로 인한 피해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에는 초기대응과 화재출동에 따른 화재진압의 연계성을 갖기 위해서는 현재의 자위소방대가 아닌 한층 더 전문화되고 책임이 강화된 자체소방대가 초고층건축물의 규모별로 편성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및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진용준 진용준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