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대외여건 진정땐 금리 정상화”

관리자 / / 기사승인 : 2011-10-23 17:2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기획재정부와 물가목표제 개편 협의한 적 없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유로존의 재정위기 등 대외적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 금리 정상화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며 기준 금리 정상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오후 한은 인천연수원에서 출입 기자들과 만나 “인도네시아가 기준 금리를 내린 것은 (의표를 찌르는)놀라운 일이었지만, 금리를 내리는 일은 상대적으로 쉬운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유로존 재정위기, 미국의 경기 회복속도 둔화로 신흥국인 브라질·인도네시아가 잇달아 기준금리를 내리자, 한은도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일각에서 제기돼 왔다.


또 한은이 지난 6월 이후 넉달 째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이 물건너갔으며 인상시기가 내년 하반기 이후로 늦춰질 수 있다는 가시돋친 전망도 등장했는데, 그의 발언은 이에 대한 공식답변인 셈이다.


김 총재는 ‘한국은행이 물가목표제 개편을 준비하고 있는가’는 질문에 대해 “(개편을) 고려한 적이 전혀 없으며,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물가지표를 ‘소비자 물가’에서 ‘근원물가(core inflation)’로 바꿀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그는 “소비자 물가를 물가관리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고 해도, 코어(근원물가)를 결코 무시할 수는 없다”며 “CPI를 목표변수로 하되, 코어를 보겠다”고 답변했다.


물가가 만성적으로 상승하는 지를 측정하는 ‘근원 물가’ 지표는 소비자 물가의 보조 지표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올들어 소비자 물가가 4%대 고공행진을 거듭하자, 한은이 현행 3년인 물가목표 시한을 없애고, 물가관리 지표도 소비자 물가에서 근원 물가로 바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리자 관리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