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수출기업의 체감경기 하락 추세가 올 4분기(10~12월)에도 이어져 5분기 연속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이 발표한 ‘2012년 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EBSI) 조사’ 결과 4분기 수출경기 전망지수(EBSI)는 전 분기보다 10.1 포인트 하락한 77.4를 기록하며 5분기 연속 100포인트를 하회했다.
특히 수출 체감경기가 가장 얼어붙었던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기록(2009년 1분기 33.4, 2분기 66.1) 이후 14분기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항목별로는 수출상담(96.2)을 제외한 수출계약, 수출단가 등 거의 모든 항목의 EBSI 지수가 90 이하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 EU 등 선진국 및 중국, 인도 등 개도국 경제의 불확실성에 따른 심리적 불안을 반영해 수출국 경기(70.5)는 전분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수출채산성(58.6), 수출상품 제조원가(70.3) 등의 경기전망도 전 분기에 이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품목별로는 컴퓨터(111.1), 광학기기(102.8)를 제외한 모든 항목의 EBSI가 100을 하회하며 대부분의 품목이 부진할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81.5), 휴대폰(78.6), 자동차(76.8), 철강(53.2) 등의 수출경기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수출기업들이 지적한 최대 수출애로 요인으로는 2분기 연속 수출대상국 경기부진(24.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19.9%), 원화환율 변동성 확대(14.8%) 등도 애로요인으로 꼽았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 “주요국 경기부진에 따른 세계 수입수요 둔화로 4분기 우리기업의 수출 체감경기가 지속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주요국의 경기부양책이 제시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디플레 및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될 가능성도 양립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