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지도부, 文-安 공세 본격화

이영란 기자 / / 기사승인 : 2012-10-15 15:33: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문 겨냥 “NLL 국정조사 받아라”...안 겨냥 “무소속 대통령 위험”
[시민일보] 새누리당 지도부가 15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를 향해 포문을 열었다.

먼저 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서해북방한계선(NLL)에 대한 비공개 대화록이 존재한다는 주장과 관련해 일제히 국정조사를 촉구하며 문재인 후보를 강하게 압박했다.

황우여 대표는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남북정상회담 준비기획단장을 맡았던 문 후보는 당시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분"이라며 "진실된 내용을 알리고 떳떳하게 국정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또 "NLL은 남북이 존중해 온 휴전선으로 이를 변경하는 것은 새로운 강화조약이 있기 전에는 불가능하다"며 "이런 절차 없이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다른 내용을 언급했다면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의 언급이 있었다면 1급 비밀로 지정해서 감출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알리고 뜻을 물어야 한다"며 "국회의 요구를 1급 비밀로 숨겨둘 수 없다. 남북정상회담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기관은 노 전 대통령이 언급한 NLL 회담 내용을 공개해 국회가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황 대표는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국민의 입장에서 한 국정조사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보관기관이 청와대면 운영위에서, 국정위면 정보위에서 제한된 의원이 열람한 뒤 국회에 보고할 수 있게 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국가 이익이 걸려 있을 때는 군사기밀이라도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법 정신을 유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우택 최고위원도 "노 전 대통령의 NLL 발언 논쟁은 녹취록 존재유무, 야권이 주장하는 색깔론 차원이 아니다"라며 "국가 영토수호 차원에서 그 문제의 본질과 심각성이 있기 때문에 국정조사는 당연하다"고 가세했다.

그는 "만에 하나라도 사실이면 이는 이념논쟁이 아니라 영토를 수호해야할 국군 통수권자로 있을 수 없는 행위"라면서 "당시 노 전 대통령의 NLL 발언을 보면 인식의 일단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발언이 왜 이시점에 문제가 되는가는 당시 비서실장을 지내고 정상회담 추진위원장이었던 분이 민주당의 대선 후보"라면서 "그 인식의 심각성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문 후보는 먼저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며 "아니다라고 주장하지 말고 국조를 실시해서 본인 말대로 사과할 문제가 있으면 사과를 하고 그에 상응하는 책임있는 행동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영토주권은 독도와 이어도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한국전쟁의 휴전국이고 지금도 휴전선에서 대치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며 "이제 문 후보가 답변해야 한다. 대권주자로서 영토와 국민의 생명, 재산을 보호할 의지가 있는지 답변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날 무소속 안철수 후보를 겨냥, “무소속 대통령이 당선되면 국가적 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작심한 듯 발언을 쏟아냈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무소속 대통령은 국정을 마비시키고 민주주의에 역행한다. 절대로 (당선) 되면 안된다"며 "무소속 대통령은 이상(理想)이 아니라 국가적 재앙"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무소속 대통령은 국회에서 예산의 뒷받침도 어렵고 법안 통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국정 마비사태를 초래할 것"이라며 "왜냐하면 안 후보 캠프의 현역의원은 1명뿐이다. 안 후보가 대통령이 되는 순간 국회의원 298명이 야당의원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야당 의원은 오퍼지션(opposition)이라는 영어 표현대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반대하는 것이 주어진 정치적 역할"이라며 "단 한사람만 빼고 모든 국회의원이 반대하는 국정운영은 순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최고위원은 "대통령으로 하여금 국민의 뜻을 살피게 하는 장치는 각종 선거이고 총선에서 패하면 국정운영 기조를 바꾸는 것이 관례"라며 "무소속 대통령은 총선이나 지방선거에서 대통령에게 속한 후보가 출마를 안 한다는 뜻이다. 국정운영에 불만 있는 국민들이 심판할 대상을 없애버린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선거에 두려움이 없는 대통령, 국민 눈치를 볼 필요 없는 대통령은 국민 위에 군림하는 안하무인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국가 시스템이 붕괴하는 국가적 재앙이 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