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권광희 |
아무도 찾아오지 않았던 이번 설날 이후 할아버지는 점차 마을 복지관과 경로당의 출입이 줄어들고 무표정한 모습을 보이며 혼자 있으려고만 한다.
간혹 할아버지 댁에 방문한 마을사람에게“희망이 없다”,“사는게 나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라고 말씀하시며 눈물을 자주 보인다. 얼마 전‘노인교통사고예방’홍보를 위해 인근 노인정을 방문하여 어르신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그 중 한 어르신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인의 사연을 이야기를 하며 눈시울을 붉히는 것을 보았고 마음 한켠이 무거워짐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 주변에 홀로 사는 “홀몸 노인”의 삶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우리나라 노인의 빈곤율과 자살률이 OECD회원국 중 1위를 기록할 만큼 노년층의 가난과 절망이 심각한 수준이다. 결혼도 줄어들고, 가족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사람들이 고립되어 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혼외 자녀 출산과 독신의 증가, 세대 간의 갈등 심화, 이혼 증가, 여성의 사회적 지위 상승과 취업 중가, 개인의 책임감 부족, 가족의 헌신의 결핍, 이기심(가족의 의무보다는 개인적인 욕구 우선) 이로 인하여 가족 중 한명이 죽게 되면 쉽게 혼자가 되고 재정적인 부분이나 기술이 없으면 쉽게 노숙자가 되거나 나이가 들면 독거노인이 되게 되는 것이다. 그 중, 독거노인은 사람을 그리워하듯 혼자 사는 노인으로 최근 들어 ‘홀몸 어르신’이라 불러진다.
슬픈 현실은 노인 자살률이 높지만, 사망자 절대수가 작다보니 사회의 관심의 낮다는 것이다. 또한, 젊은이들의 자살은‘도와달라는 비명(cry for help)’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지만 노인 자살의 경우 은밀하고 치밀한 준비를 통해 실행하기 때문에‘침묵의 자살(silent suicide)’이라 불릴 정도로 노인자살은 예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럴수록 더 많은 관심과 배려가 필요한 것이 노인들의 쓸쓸한 혼자 삶을 마감하는 것이다.
이분 들은 우리의 미래 모습이기도 하기 때문이기에...“요즘 어떠세요”, “식사는 하셨는지요”내 이웃에 계신 할머니, 할아버지께 이런 따뜻한 안부는 살아가는 데 굉장히 큰 힘이 될 수 있다.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손자, 손녀 아들, 딸들 즉 우리들의 관심과 사랑이 너무나도 필요한 것은 바로 우리의 미래 모습을 상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