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임천혁 |
우리가 흔히 말하는 더위를 먹었다고 하는 여름철 더위병에는 열경련, 일사병, 열사병 등이 있는데 그 손상 정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무더운 날씨 속에 장시간 직사광선에 노출될 때 강한 열에 우리 인체가 체온조절을 잘하지 못해 일어나는데 두통, 설사, 현기증 등이 동반된다.
첫 번째는 열경련으로 가장 경미한 열손상이며 더운 환경에서 땀 손실이 많아 전해질 평형이 깨져 근육에 경련이 발생하는 것이다. 통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더위에 장시간 마라톤이나 조깅하는 경우 흔히 발생되며 치료방법으로는 수분과 염분을 알맞게 섭취하며(0.1% 식염수+물 1리터에 소금 한티스푼) 경련이 일어나는 근육을 마사지 해주고 그늘에서 쉬면 된다.
두 번째는 일사병으로 더위 손상 중 가장 흔하며 심한 수분 소실에 의해 체액이 부족해진 경우에 발생한다. 수분이 빠져나가 몸이 약해져 전신 쇠약증상과 오심과 두통을 수반하는 현기증이 발생하며 맥박도 빨라진다. 이 경우 시원한 곳에 가 이온음료, 물을 마시면 대부분 호전되나 만약에 의식이 나빠지고 체온이 점차 상승하여 증상이 신속히 호전되지 않으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세 번째는 열사병으로 치명적이고 가장 심한 열손상이다. 40℃ 이상의 고열과 의식소실이 특징이며 인체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났으므로 경련, 호흡장애, 급성 신장손상 등이 발생 할 수 있으며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열경련, 일사병과 달리 사망률이 매우 높다. 환자 발생시 시원한 장소로 환자를 옮긴 후 옷을 벗기고 젖은수건 및 젖은담요를 덮어주고 부채질을 해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체온을 내려주는 것이다. 또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여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더운 환경에서 오래 서 있거나 고온에서 격렬한 운동, 야외작업시 햇볕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이온음료를 마실 때 소금을 같이 섭취하지 말고 야외활동시 모자를 쓰고 넉넉한 옷을 입으며 운동 중간에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이 무더운 여름속 과일 등 비타민 섭취를 잘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나 눈을 보호해주고 충분한 휴식과 물을 자주 섭취한다. 실내온도는(26~28℃)로 하며, 실내ㆍ외 온도차를 5℃ 정도로 유지하며 환기는 1시간에 한 번씩 10분간 해준다. 또한 날음식은 피하며 기름진음식과 찬음식은 조금만 먹고 손발을 깨끗이 씻고 편안한 잠자리를 갖도록 하며 체질별 보양식을 먹는 등 평소에 가벼운 운동과 여름철 건강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