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대하는 행동이 정성과 배려의 습관으로 이어지길 바라며

이태룡 / / 기사승인 : 2014-09-28 15:02: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아산경찰서 경무과
▲이태룡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공직자에 대한 윤리와 청렴을 강조하는 말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 다산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에는 공직자로서의 기본자세로 청렴, 절검(節儉)의 생활신조, 민중본위의 봉사정신 등을 들고 있으며 공직자의 본무는 백성에 대한 봉사정신을 기본으로 하여 백성을 보호하고 사랑하는 이른바 애휼정치를 강조함을 알 수 있다.

흔히들 말해 권력기관이라고 일컬어지는 경찰에서도 청렴과 국민 인권 보호 등 자정노력은 계속되었으며 그 어떤 활동에 비해 게으름이 없도록 노력해 왔다.

경찰은 국민에게 의로우면서도 근면하고 깨끗하며 공정한 경찰로 최선을 다하기 위해 하루 하루에 충실하며 경찰 각 기능에서도 계절, 시기별로 범죄 유형과 국민 대상별로 국민의 안전을 위해 한해만도 수백가지의 각종 시책을 추진하며 좀 더 안전한 사회를 위하고 국민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일반 치안을 넘어 이제는 복지 치안으로까지 그 활동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불과 십여 년 전까지만 해도 단순한 예방 순찰과 발생한 사건에 대한 검거에만 초점을 맞추던 모습에서 이제는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한 각종 범죄예방법들을 시행하며 국민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경찰활동이 되도록 역량을 늘려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국민이 생각하는 믿음직하고 청렴한 경찰관은 범인을 잘 잡는 일에 대한 전문성이나 공정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나 하는 것에 가장 큰 관심을 갖는 것만은 아니다.
우리 국민들의 눈높이는 이제 대한민국 경찰관이 도둑을 잘 잡는 것과 업무를 정확하고 공정하게 처리하는 것은 당연한 덕목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

기본적으로 경찰을 느끼는 것은 현장에서 만난 경찰관이 얼마나 친절하고 성심성의껏 국민들을 대하는 가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경찰 전체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우리가 금융기관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정할 때 은행에 가서 대출 업무를 처리하면서 은행원이 실수를 해 내가 불이익을 받을 거라는 생각을 하는 것보다는 얼마나 친절했는지에 대해 그 은행 전체의 신뢰도와 이미지를 정하는 것처럼 이제 우리 경찰의 모습도 민원인을 만나는 그곳 현장에서 우리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신뢰도가 평가된다는 것을 인지해야한다

긴박한 격무와 쫒기는 시간 속에서 웃을 수 있다는 것이 정말 말처럼 쉽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신고자가 경찰관이 정말 국민을 위해 일하고 있구나 라는 느낌일 들 수 있도록 작은 행동과 언행 하나에도 신중하고 배려있게 해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69대 신임 경찰청장께서도 112경찰청장이 되겠다라고 공헌 한 만큼 우리 경찰은 현장에 강한 책임 있는 경찰이 될 것이라 믿는다. 아무쪼록 우리 경찰이 현장에서 국민을 대하는 배려심 깊은 모습이 오래전부터 자연스럽게 익혀진 습관으로 느껴지길 기대해본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태룡 이태룡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