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현 순경 |
겨울철 자동차 관리는 나를 포함 주변인들의 안전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고로 기본적인 겨울철 자동차 관리 방법을 숙지해 이행할 필요가 있다.
우선 부동액은 냉각수와 5:5비율로 해 줘야 한다. 부동액은 냉각수를 얼지 않게 하고 라디에이터 및 관련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겨울철 차량 점검시 가장 우선적으로 살펴야 하는 부분이다.
최근 들어 사계절용 부동액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여름철엔 엔진과열을 막기 위해 냉각수로 물을 많이 보충했다면 냉각수의 부동액 농도가 달라져 있을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두 번째 타이어 공기압 확인 및 겨울용 타이어 장착이다.
겨울철에는 공기가 수축돼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아져 빙판길이나 눈길에서 대형사고의 위험이 있다. 아울러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이나 추운 지역의 운전자들은 스노우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노우체인을 미리 준비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세 번째 배터리 전압 점검이다. 기온이 내려가면 배터리의 시동전압이 낮아져 시동이 잘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가면 모포나 헝겊 등으로 배터리를 감싸 완전 방전을 예방해야 한다.
네 번째 워셔액 보충 및 와이퍼 점검이다. 워셔액은 유리를 닦는 것 외에 결빙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겨울철 워셔액의 경우 기온 하강에 워셔액 통이 얼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워셔액 탱크가 파괴돼 펌프 모터를 고장 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워셔액을 사용해야 한다.
또 와이퍼 또한 전면 유리와 함께 얼어붙는 경우가 있어 낡았다면 미리 교체해야 한다. 겨울철 자동차 관리는 나와 주변인들의 안전을 위한 필수요소임을 다시 한번 상기하고 이 글을 읽는 모든 독자가 위의 방법들을 숙지 이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