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도현 |
하지만 폭설로 인하여 도로가 눈으로 쌓여 빙판길이 되어 제동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이 있거나 실외에 주차해 놓은 차량은 밤새 온도가 내려가 각종 차량의 장치들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아 도로위에 멈추게 되는 일들이 종종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명절인 설날을 앞두고 고향으로 가기 위해 장거리 운전을 할 일이 많기 때문에 내 가족뿐 아니라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는 차량 월동준비는 꼭 필요하다.
겨울철 차량 월동준비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 몇 가지를 준비하면 된다.
첫 번째는 부동액 점검을 해야 한다. 부동액은 냉각수가 얼지 않게 하고 라디에이터와 관련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냉각수는 날씨가 따뜻한 여름철에는 수돗물만 넣으셔도 큰 상관이 없겠지만, 날씨가 영하로 내려가면 수돗물이 곧바로 얼어버려서 차에 큰 이상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냉각수는 물과 부동액을 1:1로 혼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두 번째는 타이어 공기압 및 마모상태 점검이다. 겨울철은 공기가 수축돼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아지거나 마모상태가 심각하면 빙판길이나 눈길에서 사고가 발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 체크 및 마모상태 점검은 필수입니다. 또한 갈수록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기 때문에 이제 스노우 체인은 필수적으로 구비해두시는 것이 좋다.
세 번째는 배터리 전압 점검이다. 기온이 내려가면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떨어져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방전이 되기 때문에 전압을 체크하시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교체주기가 지났을 경우에는 배터리 성능이 많이 떨어진 상황이기 때문에 교체해주시는 것이 좋다.
네 번째는 낡은 와이퍼는 교체하고 워셔액은 얼지 않는 겨울용으로 채워두는 것이다. 눈이 많이 오는 겨울은 여름철 못지않게 와이퍼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낡았다면 새것으로 교체해 주는 것이 좋으며, 워셔액 또한 냉각수의 부동액과 마찬가지로 추운 겨울에도 얼지 않는 겨울용으로 미리 채워 두는게 필요하다.
그 밖에 겨울철에 차량을 운행하면서 히터를 많이 사용하며 히터가 고장나면 추위에 떨면서 운전을 하게 되어 집중도가 떨어지고 자칫 창문에 김이 서려 사고가 날수 있으니 점검을 해야 한다.
계속 되는 한파로 대부분 점검을 귀찮게 생각할 수 있다. 출퇴근, 자녀 등하굣길, 장거리 운행 등 생활에 많은 부분 차량을 사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점검을 시작한다면 나 자신뿐 아니라 가족들을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지켜줄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