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위 표승섭 |
흔히 보이스피싱 사기의 특징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을 사칭하고 피해자에게 자녀납치 등의 거짓말로 심리적인 압박을 가하고 정신을 혼돈케 하며 발신번호 또한 조작하게 된다.
또 과거와 달리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해 피해자의 금융재산을 몽땅 편취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대대적인 홍보 등으로 보이스피싱 범죄의 성공률이 여의치 않자 최근에는 휴대폰 서비스를 이용한 피싱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스미싱 사기의 유형으로 휴대폰에 배송경로 확인, 택배 배송불가, 주소불명 주소지 확인등과 같은 문구와 함께 인터넷 주소(URL)와 함께 보낸다.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곧 바로 소액결제가 되거나 개인정보(금융정보, 연락처, 사진 등)가 모조리 빠져나가 대형 금융사기로 이어진다.
흔히 택배 물건의 위치확인이나 이동경로는 대상자들이 직접 인터넷으로 확인해야 하고 택배사 에서는 송장번호만 신청자들에게 메세지로 전파한다. 경찰청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사기 피해자를 예방하기 위해 “사이버 캅” 이라는 앱을 개발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앱을 설치하면 수신된 문자가 스미싱인지, 휴대전화 번호나 문자 상의 계좌번호가 인터넷 사기에 이용된 것이지 알 수 있고 문자URL에 숨겨진 악성앱 또한 탐지할 수 있다.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문자를 수신하였을 때는 한국 인터넷진흥원(118)으로 신고하면 2차 피해 예방법과 악성 앱 제거 요령 등을 무료로 상담 받을 수 있다. 날로 진화하고 교묘해지는 피싱 사기에 대한 예방법 숙지로 금융사기 피해발생을 최소화 해야겠다. (인천 삼산경찰서 경위 표승섭)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