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기훈 |
햇곡식과 햇과일이 식탁에 나오는 풍성함과 마음의 여유를 주는 우리 민족의 명절, ‘추석’은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을 풍성히 수확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시기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속담도 생겼다.
하지만 해마다 추석이 되면 각종 재난사고가 방송이나 신문에 어김없이 나온다. 즐거워야할 추석에 각종 안전사고 때문에 눈살이 찌푸려진다. 올 추석에는 단 한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고 즐거운 추석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몇 가지 안전수칙을 알아보자.
우선, 우리 집 안전 확인이다. 집을 나서기 전에는 가스밸브의 잠금장치를 확인하고, 불필요한 플러그나 콘센트, 전기코드는 반드시 뽑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에 따른 전기합선 및 누전 등의 원인으로 빈집에서의 화재로 전소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그리고 창문 등 모든 출입문 문단속을 철저히 하고 신문, 우유 등 배달되는 것들은 연휴기간 잠시 중단함이 좋다.
다음으로 귀성운전 안전이다. 출발 전 안전점검은 필수이며, 사고를 대비해 예비 타이어, 삼각대 등 기본 상비품을 준비하고 차량용 소화기는 반드시 비치하자. 만약 연휴기간에 고속도로 상에서 차량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차가 출동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초기에 신속히 소화하기 위해서는 소화기는 꼭 비치해야 한다. 또한 음주운전 및 졸음운전은 당연히 금지된다. 차 멀미약을 복용하는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한다. 멀미약은 졸음을 유발하고 방향감각 상실 등의 증상이 있기에 운전자는 가급적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부득이한 경우 승차 30분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성묘 길 위험성이다. 성묘나 벌초할 때 벌에 쏘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을 유인하는 향수·화장품 사용을 금하고 요란하거나 밝은 색 계통의 의복은 피해야 한다. 만약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다면 최대한 자세를 낮추고 움직이지 않고 벌들이 다른 곳으로 날아가도록 기다리는 것이 안전하다. 만약 벌에 쏘였을 경우 손으로 뽑지 말고 신용카드 등으로 피부를 밀어 벌침을 빼도록 한다. 통증 부위에는 얼음찜질을 하여 부종을 줄이고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른 후 안정을 취해야 한다. 또한 성묘·벌초 길에 뱀을 피하기 위해서는 풀숲을 다닐 때 스틱 등으로 휘저으며 이동하고 일단 뱀에 물렸을 경우에는 물린 사람을 눕혀 안정시킨 뒤 움직이지 않게 하고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아래에 위치시킨 뒤 바로 119에 신고해야 한다.
안전사고는 우리주위에서 언제 어디서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예상하고 시민들 스스로 예방하고 주의하며 언제든지 안전마인드를 갖고 생활해 주기 바라며,
올 추석에는 더 이상 뉴스나 신문에서 사건사고가 나오지 않는 안전한 명절 즐거운 한가위를 보내기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