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대일 |
우리나라는 일반 개인주택에서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같은 화재 대부분이 심야 취침시간에 발생해 화재사실을 조기에 인지하지 못해 대피지연으로 유독가스를 흡입,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도 많은 주택엔 화재 시 경보를 울려 신속히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경보형감지기 등 기본적인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전기ㆍ가스시설 등의 부주의한 사용이 주택화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등 안전의식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초기 소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를 가정과 차량 비치하고 화재사실을 조기에 알려주는 단독경보형감지기를 구입ㆍ설치하여 유사시 대비해야 한다.
가스로 음식물을 조리할 땐, 특히 장시간 조리를 해야 할때에는 자리를 비우거나 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또 가스가 새는지 수시로 점검, 확인해야 한다.
전기 또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에너지다. 그러나 무분별하게 사용하거나 안전의식 없이 사용하게 되면 누전, 단락, 과부하 등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수시로 누전차단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이상이 있으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전기안전점검을 받아야 한다. 또한 하나의 콘서트에 여러개의 전기제품을 꽂아서 사용하는 문어발식 사용을 자제하여야한다.
가정의 행복을 위해 한번 더 살펴보고 대비하여 온 가족이 재난으로부터 벗어나 즐거운 생활을 누릴 수 있길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