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사무국 제공) |
제16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은 오는 8월 4일부터 12일까지 9일 동안 서교예술실험센터, 갤러리메이, 아트스페이스오, 미디어극장 아이공, 인디스페이스, 한국영상자료원, SMIT시네마 등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16회째를 맞은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은 아시아 최초의 뉴미디어아트 영상축제이자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미디어아트 영상축제로 자리매김해왔다.
이번 제16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에는 20개국 118명의 영화감독, 미디어아트, 비디오영상 작가 등이 참여하고 129개의 작품이 선보인다.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은 디지털영화, 다큐멘터리, 대안영상 등 뉴미디어아트 영상과 전시를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으며 뉴미디어대안영화제, 뉴미디어아트전시제, 뉴미디어복합예술제 등 3개 섹션 12개 프로그램으로 나눠 진행된다.
개막작으로는 대안영화이자 미디어아트 작품인 김세진의 '3부작 시리즈'가 선정됐다. 김세진 작가의 3부작 시리즈는 '엔젤섬' '12개의 의자' '또르틸라 치난틸라' 3개의 영상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자본주의 이념 아래 전 지구적 이주, 이동현상에 대해 연작 이야기로 다루고 있다.
이민자들로 구성된 미국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성장배경의 원동력을 들여다보며 그 속에 담긴 개인의 이상향과 집단적 유토피아에 대한 열망을 무빙 이미지 영상으로 제작해 눈길을 끈다.
올해의 네마프 슬로건은 '가상의 정치', 디지털 환경이 일상화된 포스트 디지털 시대에 기계를 통해 가상공간이 실재를 지배하는 세상으로 다가가고 있는 오늘을 예술로 성찰해보고자 하는 의미를 담았다. 이런 슬로건의 의미를 공식 포스터에 담아내고자, 김두진 작가의 작품을 디자이너가 새롭게 포스터로 작업해 담아냈다.
포스터의 이미지 작업을 한 김두진 작가는 서양화가이자 미디어 아티스트로, '켄무디와 로버트 셔먼' 작품을 바탕으로 강렬한 핑크색 타이포그래피를 더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사진작가 메이플 도프의 '켄무디와 로버트 셔먼'을 차용해 인물들의 뼈대를 상상해 3D 그래픽으로 구현한 이 작품은 원작에 나타난 인종 차이를 무색하게 함으로써 차용과 변형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작품은 네마프 기간 동안 서교예술실험센터에 전시될 예정이다.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김장연호 집행위원장은 "그동안 접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대안영화, 비디오아트 영상, 미디어 퍼포먼스, 다큐멘터리 등을 한 자리에 모아 장르간의 경계를 허물고 영상을 통한 문화융합의 장이자 영상 축제의 자리로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젊은 영화감독들과 신진작가, 해외 유명작가들의 작품을 폭넓게 감상할 수 있는 네마프에 많은 분들이 찾아와 즐겨줬으면 한다"고 성원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