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절 논란‘ 학계내 전문가들도 의견차 극명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8-17 14: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영훈 교수, “광복절의 본래 뜻이 건국절”
한시준 교수, “10월3일 개천절이 바로 건국절”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로 건국절 논쟁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학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극명한 시각차가 드러나고 있다.

이영훈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 16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광복절의 본래 뜻이 건국절”이라며 8월15일을 건국절로 기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1945년 8월15일은 우리가 일제로부터 해방됐고, 1948년 8월15일에 대한민국이 성립했다. 그 사건을 가지고 광복이라고 한다”며 “오늘날 우리가 광복의 뜻을 잘못 쓰고 있는데 광복의 본래 뜻은 광복조국, 광복독립의 줄임말이다. 그런데 우리 세월이 어떻게 오래 지나다보니 뜻이 왜곡돼서 해방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광복절의 뜻을 똑바로 기리는 것이 조국과 독립을 영광스럽게 되찾은 날이고 1948년 8월15일이 바로 그날”이라고 밝혔다.

‘1948년 8월15일 건국이라는 건 임시정부를 부정하는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그런 주장이 김대중 정부 때부터 일부에서 제기가 돼서 지금까지 이렇게 확산돼 온 것”이라며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진정한 뜻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인데, 그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헌법에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를 전부 우리 영토로 하고 있다’고 하는 것과는 모순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우리가 북한을 장차 통일하는데 있어서 자유민주적 질서에 입각한다는 대원칙이 있는데, 이것은 이념의 정당성, 법적 정통성, 세계적 보편성에 근거하는 것이지 건국절을 어떻게 한다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또 북한은 1948년 9월9일을 공화국 창건일로 기념하는데, 그 법적 정통성을 김일성의 독립운동에서 구한다. 그런데 우리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구하고 있다”며 “그러므로 건국일, 나라가 언제 세워졌는가를 정하는 문제하고는 일단 차원이 다른 문제”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시준 단국대 사학과 교수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개천절이 바로 건국절”이라고 반박했다.

한 교수는 “광복절에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의미도 들어가 있는데 별도로 건국절은 필요가 없다”면서 “건국이라고 하는 용어에 대해 선조들은 함부로 얘기하지 않았다. 지금 대한민국 정부의 국경일 중에 개천절이라고 있는데 단군이 국가를 세운 날이 바로 건국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19년에 수립됐는데 그 해에 국무회의에서 국경일을 정하자고 해서 세 가지를 정했다. 하나는 3월1일 3.1절, 두 번째는 4월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한 날, 그리고 음력으로 10월3일, 그래서 그걸 개천절 또는 건국기원절이라고 했다”며 “이미 건국절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국경일로 정해 놓은 것이고, 그걸 지금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 대통령의 ‘건국 68주년’ 발언에 대해서는 “전혀 역사적인 사실과 관계가 없는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1948년에 건국된 일이 없다. 우리 역사가 4300년 정도 되는데 그동안 우리 민족은 민족이 살아 있고 민족이 나라를 세웠다가 망하면 다시 나라를 세우고 그래왔다. 그런 중 대한민국이라고 하는 나라는 1919년 4월11일 중국 상해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제 때 우리 민족들이 거기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세가지였는데, 하나는 전국적으로 저항해서 나라를 찾는데 종사하든지, 아니면 일제 편에 서든지, 아니면 수수방관하든지 하는 것이었다”며 “그런데 일제 편에 섰던 사람들이 자신의 민족적 과오를 건국에 공헌했다고 해서 그걸 건국행위로 둔갑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또 우리가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을 때 모든 민족들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해서 독립운동을 했는데 그 독립운동의 역사가 밝혀지면 밝혀질수록 반민족행위에 대한 것이 명확하게 드러난다”며 “가급적 독립운동의 역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를 취급 안 하고 그걸 없이 하려고 그런 의도로 건국절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